반응형

얼마 전 같은 신문사에서 일했던 후배 두 사람과 저녁식사를 했다. 한 사람은 신문사에서 탐사보도로 이름을 날렸고 현재는 종편 보도국장으로 일하고 있는 사람이다.  또 한 사람은 국제부(외신부)와 문화부에서 오래 일하다 그만두고 출판사를 운영하고 있는 사람(부글플러스 출판사 대표 정명진)이다. 삼겹살에 소주를 마시며 최근의 안부를 묻고 이야기꽃을 피우며 옛 추억을 더듬었다. 그러던 중, 정명진 대표가 '고암의학'이라는 책을 최근 펴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신문사의 현직 중견기자인 또 다른 한 후배가 정 대표에게 출판을 권해 낸 책이 바로 '고암의학'이라는 것이었다. '고암의학'을 검색해 보니 한때 논란을 빚었던 분야였다. '고암의학'의 이론을 과학적으로 입증하라는 일부 개업의들의 비판 또는 비난에 휘말렸던 적이 있었다는 것이다. 




집에 돌아와 최근 출간된 '고암의학'을 펴보니 소설처럼 쉽게 술술 읽히는 책이 아니었다. 선술집에서 들었던 이야기를 다시 떠올려 봤다. 이야기의 요체는 "스스로 배워서 질병을 치료하는 데 필요한 책"인 것 같다. 이 책을 펴내보라고 했던 현직 신문기자는 '고암의학'에 심취한 것으로 보인다. 


이 신문기자의 가족 가운데 한 사람이 병원에서 치료하기가 힘들다고 하는 난치병으로 고생하고 있는데, 고암의학에 바탕한 인술을 펴고 있는 김덕주씨의 말에 따라 꽤 큰 효험을 본 것으로 전해졌다. 


부글플러스 출판사의 정명진 대표는 평소 사리를 분명하게 따지는 사람이다. 게다가 신문사를 퇴직한 뒤 나름대로 가산을 정리하고 출판사를 차렸으니 돈을 벌어야 할 사람이다. 그런데 내가 보기엔 썩 매력이 없는 '고암의학' 같은 책을 왜 펴냈는지 솔직히 이해가 잘 안됐다. 더욱이 책값이 7만 원이나 되는데 출판비나 뽑을 수 있을지 슬그머니 걱정이 앞서기도 했다. 


그렇다면 정명진 대표가 뭔가 중요한 비밀의 열쇠를 이 책에서 찾았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에 이르렀다. 이와함께 20여 년 전, 신문사에서 한 중견간부가 제안한 사람 인터뷰를 한사코 하지 않겠다고 했던 선배동료들의 얼굴이 떠올랐다. 당시, 그 사람 인터뷰를 자청한 건 바로 나였다. 그 해 추석연휴를 보내면서 밤새워 읽은 '소설 동의보감'시리즈에 반해, 지리산 자락에 칩거하며 신비 의학을 연구하던 '도인'을 찾아가기로 한 것이다. 


그 도인은 고(故) 김일훈 옹이었다. 네이버에서 '김일훈 김영섭기자'로 검색했더니 다음과 같이 나온다. 




김일훈 옹의 호인 '인산'의 이름을 딴 '인산죽염'카페에 옛 기사가 실려 있다. 1990년 10월 19일자 사람섹션에 쓴 글이었다. 당시 사람섹션의 맨 앞 페이지 톱기사였다. 


신간 '고암의학'에서 비롯된 한의학 또는 대체의학에 대한 생각이 날개를 달고 타임머신처럼 엣날과 오늘 사이를 왔다갔다 한다. 


난 '바이러스'개념을 가진 현대의학을 기본적으로 신봉한다. 하지만 자신들이 원인도 잘 모르고  손을 쓸 수도 없는데도 과학이라는 이름으로 큰 틀의 대체의학을 무조건 비판 또는 비난하는 일부 의사들의 무모함에는 반대한다.  그들은 서울대 해부학교실의 원로교수였던 고(故) 이명복 박사님이 재직 중에 왜 사상의학,팔상의학을 비롯한 한의학연구회를 만들어 의대 제자들과 논의하고 연구했는지 곰곰 생각해야 마땅하다고 본다. 


의학용어 가운데는 불명열(不明熱, 원인이 뚜렷하지 않은 열)과 같은 개념의 병명이 많다. 이뿐만이 아니다. 현대의학이 난치병 또는 불치병으로 낙인 찍은 질병도 결코 적지 않다. 모든 환자를 살리지 못하는 의사는 자신이 아무리 유명하다고 하더라도 겸손해야 한다. 전지전능한 의사는 단 한 사람도 없다. 그리고 아는 것보다는 모르는 게 훨씬 더 많음을 결코 잊어선 안된다.





이런 측면에서 '고암의학'도 바라보고 싶다. 현대의학이 내팽개칠 수밖에 없는 상태의 질병도 다른 방법을 쓰면 나을 수도 있다고 본다. 의사들은 이런 것을 '비과학적'이라고 싸잡아 비판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하지만 우리 주변에는 현대의학이 포기한 질병을 다른 방법으로 치유한 분들이 꽤 많다. 치유는 못했지만 상대적으로 적은 고통을 느끼며 꽤 오랜 기간 살다간 분들도 부지기수다. 


'과학'의 반댓말은 무엇일까? '비과학'일까? 과학으로 밝혀내거나 입증할 수는 없지만 엄연히 존재하는 신비의 '미과학'도 반댓말이 될 수 없을까?  물에 빠지면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것이 시쳇말로 인지상정이다. 과학의 발전사를 잠시 떠올리면 대답은 자명해 질 수 있다고 본다. 100년 전, 200년 전 비과학적이라고 생각했던 것들이 '과학'의 경지에 이른 사례가 얼마나 많은가. 


책 '고암의학'은 오늘 나에게 과학과 미신,비과학,미과학을 함께 생각케 했다. 상념이 자유로운 오늘은 축복받은 날이다. 

     


      


  


   


    

반응형
Posted by A&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