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토리텔링을 통해 경쟁력이 높은 문화콘텐츠를 제대로 개발하려면 외국인 작가라도 능력만 있다면 촬용하고, 한국이 세계 문화·예술인들의 ‘아틀리에(atelier)’가 될 수 있게 창작공간과 재정을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이 현대경제연구원에서 나왔다. 이를 계기로 스토리텔링에 대해 간략히 정리했다.


◇ 모든 콘텐츠는 스토리텔링이다.

문화산업에서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이 때문에 정부도 스토리텔링에 대한 투자에 시동을 걸었다. 올해 예산 248억원을 3D입체영상 제작과 기능성 게임 스토리텔링의 지원을 위해 배정했다. 지난 7월 1일엔 스토리창작센터를 열었다. 서울시는 올 2월 스토리텔링산업을 ‘신 성장 동력 산업’으로 추가 지정하고, 46억 원을 투입키로 했다. 하지만 이걸로는 충분치 않다. 2011년엔 획기적인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 인적, 물적 토대를 한층 더 강화해야 한다. 


◇ 스토리텔링은 신비성과 힘을 갖고 있다. 

사람들에게 상상의 나래를 펴게 하고, 비밀스러운 인간의 본성을 드러내고, 높고 귀한 행위에 뜨거운 바람을 불어넣는다. 최초의 스토리텔러들에게 주어진 유일한 무기는 말이었다. 하지만 시대의 흐름과 문명의 발달에 따라 스토리텔링의 도구는 다양해 졌다. 배우, 음악, 사운드 효과, 영화 이미지를 이용해 이야기를 정교하게 엮었다. 디지털 시대에 접어 들면서 인터랙리비티(interactivity)라는 도구를 추가했다. 이는 기존의 도구들보다 훨씬 더 설득력이 강하다.


◇ 우리나라 문화산업의 경쟁력 

유수한 선진국에 못미치고 있다. 그 핵심 원인은 콘텐츠 부족에 있다. 스토리텔링은 세계의 모든 문화에서 오락, 교훈, 도덕적 가치의 고취를 위해 만든 작은 이야기들을 큰 줄기로 연결하는 것이다. 문화산업에서 스토리텔링이 왜 중요한가. 첫째, 상호 무관하게 보이는 문화유산을 잇고 여기에 가치를 더하는 역할 때문이다. 둘째, 전체 문화콘텐츠의 방향을 정하는 기능 때문이다. 스토리텔링은 한 사회의 문화적 잠재력을 대변한다.


스토리텔링의 유형은 대중성과 시대성을 기준으로 나뉜다.  미국은 현대적․ 대중적인 스토리텔링, 프랑스는 현대적이지만 소수를 대상으로 한 스토리텔링, 일본은 현대적이고 대중적이지만 아시아적인 스토리텔링, 중국은 대중적이고 복고적인 스토리텔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 문제점의 해결 

우리나라에선 스토리텔링을 문화산업에 활용하자면 몇 가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첫째, 스토리텔링의 위상을 제대로 확립해야 한다.  우리는 최근 현대적․복고적․대중적이고 아시아적인 스토리텔링을 추구해 다소 성공을 거뒀다. 하지만 뚜렷한 방향성을 아직 정립하지 못하고 있어 대책이 필요하다.


둘째, 다양한 소재를 개발해야 한다. 역사의 영웅들은 폭넓게 다뤘으나, 현대의 영웅들은 등한시하고 있다. 특히 능력있는 기업인들이 세계적 기업가로 재탄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통섭에 힘써야 한다. 미국 영화인 ‘아바타’ 개봉 이후 3D영상을 중심으로 한 스토리텔링이 논의되고 있으나, 스토리텔링을 특정 매체에 귀속시켜선 안된다. 스토리텔링 소재의 폭을 오히려 좁히는 부작용을 낳을 수도 있다.


◇ 시사점

 현대경제연구원은 ‘스토리텔링을 통한 문화콘텐츠 개발 전략’의 시사점 5가지를 다음과 같이 내놓았다.

1. 한국은 규모에서 뒤진다. 때문에 차라리 현대적이면서 소수를 대상으로 하고, 아시아적인 명품 스토리텔링을 추구하는 게 적절해 보인다. 

2. 한국문화를 한 차원 더 높이기 위해 근본이 되는 학문인 인문학 연구에 대한 재정적인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3. 한국이 세계 문화·예술인들의 ‘아틀리에(atelier)’가 될 수 있도록 창작공간과 재정을 지원하고, 융합으로 새로운 스토리텔링이 탄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4. 능력 있는 외국인 작가를 활용해 현재의 한국이 소재가 되는 세계적인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것도 긍정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5. 정부의 지원으로 만들어진 스토리텔링에 대해선 저작권의 적용을 유예해 모두가 공유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반응형
Posted by A&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