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산소 운동 중 화장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메이크업하면 모공 막히고 수분 유분

화장을 곱게 한 채 운동을 하는 여성이 많다. 여성의 최대 60%가 화장을 한 채 헬스클럽 러닝머신(트레드밀) 위를 달린다는 영국 조사 결과도 있다. 러닝머신 달리기 등 유산소 운동을 할 때 얼굴에 화장품 파운데이션 크림을 바르면 피부와 모공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피부가 건조한 여성은 운동할 때 메이크업을 하지 않는 게 바람직한 것으로 드러냈다.

한국교원대와 미국 텍사스 A&M대 공동 연구팀은 건강한 20대 대학생 43명을 대상으로 유산소운동 중 파운데이션이 피부와 모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 참가자는 남성 20(평균 나이 약 26), 여성 23(평균 나이 약 23)이었다. 연구팀은 이들에게 얼굴 절반 중 이마와 볼 위에 파운데이션 크림을 바르고 얼굴 절반에는 아무것도 바르지 않은 채 러닝머신 위에서 20분 동안 달리게 했다. 얼굴 절반을 대조군처럼 활용한 셈이다. 연구팀은 러닝머신 운동 전후에 참가자의 피부 수분, 탄력, 모공, 피지, 유분 수치 등을 피부분석기로 측정해 분석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메이크업을 하지 않은 부위와 메이크업을 한 부위에서 모두 수분이 증가했지만, 메이크업을 한 부위에서 수분 증가 폭이 훨씬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메이크업이 피부의 수분 증발을 가로막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수분이 증가했다는 것은 땀을 흘렸다는 뜻이다.

또한 메이크업을 하지 않은 피부에서는 운동 후 모공이 많이 커진 반면, 메이크업을 한 피부에서는 모공이 썩 커지지 않았다. 메이크업이 모공을 막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유분 수치는 메이크업을 하지 않은 부위에서는 높아졌으나, 메이크업을 한 부위에선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메이크업을 하면 얼굴 피부의 적절한 유분 수치를 유지하기 힘들어 피부가 건조해질 수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운동 후 피부의 탄력은 메이크업을 하지 않은 부위보다 화장을 한 부위에서 더 높아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탄력과 수분 메커니즘의 결과일 수 있다.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의 교신 저자인 한국교원대 박동선 박사는 "운동 등 신체활동을 할 때 화장을 하는 사람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피부 건강을 위해선 화장을 지운 상태에서 운동하는 게 더 좋다"고 말했다. 그는 수분과 유분이 부족하면 피부가 건조해지고 여드름이 생길 수 있다. 건성 피부를 가진 사람은 특히 유산소 운동 때 화장을 하지 않는 게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피부는 사람 몸에서 가장 큰 기관이다. 환경 미생물의 침입을 막는 보호막이자 장벽 역할을 한다. 미생물의 나쁜 영향을 최소화해 피부 건강을 보존, 개선하려는 연구가 새로운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피부 건강은 수분과 유분의 수치, 탄력, 모공 수, 피지 분포로 평가할 수 있다. 모공이 너무 크거나 피지가 많으면 피부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피부의 피하 조직에 문제가 생기면 여드름, 블랙헤드, 화이트헤드, 구진, 농포, 낭종, 결절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블렉헤드는 모공 속에 끼어 있는 깨 모양의 찌꺼기이고, 화이트헤드는 오돌토돌한 좁쌀 여드름이다.

피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선 잠을 7~9시간 푹 자야 한다. 영양을 골고루 섭취하고, 자신에게 딱 맞는 스킨케어 요법을 유지하고, 운동을 규칙적으로 해야 한다. 피부는 땀을 통해 내부 온도를 조절하면서 모공을 넓혀 노폐물과 피지를 배출한다. 피부 표면의 노폐물을 처리하지 않고 내버려 두면 급만성 피부 트러블을 일으킬 수 있다.

한국교원대는 이번 연구 설계에 대해 텍사스A&M대 도움을 받았다. 화장품 성분에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참가자를 연구 대상에서 제외했다. 이 연구 결과(Influence of Cosmetic Foundation Cream on Skin Condition During Treadmill Exercise) 화장품 피부과학 저널(Journal of Cosmetic Dermatology) 실렸다.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안정기인 4~9세에 부모 역할 중요엄격하고 지시적인 양육, 아이의 자기조절 실행기능에 영향

활달한 기질을 가진 아이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에 걸릴 위험이 더 높다. ADHD 어린이의 안정기(4~9)에 부모가 엄격하고 지시적인 양육 태도를 취하면 ADHD 발병 예방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워털루대 연구팀은 어린이 291명을 생후 4개월부터 15세까지 추적 관찰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의 공동 저자인 헤더 헨더슨 교수(발달심리학)부모의 사전 예방적 조치가 자녀의 ADHD 발병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지시적인 양육은 자녀의 자기조절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에 의하면 학교에 들어가기 전 어린이의 활달함을 반드시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활달한 아동은 작업 기억과 유연한 사고 등 자기 조절과 실행 기능에 문제를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기질, 양육, 정신의 실행 기능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아동의 ADHD 증상을 일으킨다. ADHD 어린이는 안절부절하지 못하고 집중력이 떨어지고 충동이 강하는 등 증상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행동치료와 처방약물을 함께 써 치료한다.

자녀의 양육에 대한 부모의 참여도가 낮으면 아이가 ADHD 증상을 나타낼 위험이 높아진다. 헨더슨 교수는 "높은 흥분감, 호기심, 낯선 사람과 상황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 등 아동 기질의 초기 특성이 가족 요인과 결합해 일부 아동에게 ADHD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참가 아동의 3세 때 기질과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을 관찰한 뒤, 4세 때의 행동(실행 기능)을 평가했다. 또한 이들 아동의 5~15세 때 6회에 걸쳐 부모가 보고한 ADHD 증상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아동의 기질과 양육 방식이 함께 작용해 아동의 행동(실행 기능)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동기 초기에 활달한 기질을 보이고 실행 기능이 낮거나 정상에 가깝고 새로운 상황을 탐색하는 동안 지시적이고 참여적인 양육을 덜 받는 아동은 어린 시절 내내 ADHD 증상이 점점 더 심해졌다. 또한 부모가 아이의 ADHD 증상이라는 새로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 언어적, 신체적 신호로 자녀를 안내하는 등 보다 더 지시적이고 참여적인 양육 행동을 통해 ADHD로 이어지는 경로를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헨더슨 교수는 “ADHD 증상은 일반적으로 5~9세에 안정되고 9~15세에 감소한다. 그러나 기질이 활달하고 부모의 지시적인 양육을 덜 받은 어린이는 안정화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언어적, 신체적 단서를 통해 아이를 잘 안내하고 지시하는 양육은 아이의 자기조절 능력을 발달시키고 ADHD 증상이 심해지는 걸 막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ADHD 증상의 발병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특정 요소가 있음을 시사하며 조기 표적 개입이 중요함을 일깨워준다. 이 연구 결과(The Developmental Unfolding of ADHD Symptoms from Early Childhood Through Adolescence: Early Effects of Exuberant Temperament, Parenting and Executive Functioning)아동 및 청소년 정신병리 연구(Research on Child and Adolescent Psychopathology) 저널에 실렸고 미국과학진흥회 포털 스터디파인즈(Studyfinds)’가 소개했다.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케임브리지대 “단식, 혈중지질 ‘아카리돈산’ 수치 높여 염증 억제”

단식을 하면 특정 혈중지질의 수치가 높아져 만병의 근원인 염증을 누그러뜨린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의대 연구팀은 500Kcal 열량의 식사를 하고 24시간 동안 단식한 뒤 다시 500Kcal 열량의 식사를 하는 21명의 혈액 검체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단식을 하면 핏속 지질 성분인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수치가 높아지며 이는 특정 물질(NLRP3 인플라마좀)의 활동을 감소시켜 염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물질은 만성 염증의 원인이다.  

연구의 책임 저자인 클레어 브라이언트 교수는 "인플라마좀의 일종인 ‘NLRP3 인플라마좀’은 비만과 죽상동맥경화증,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 각종 병 특히 나이든 사람에게 많이 생기는 병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단식은 면역체계의 부작용인 염증을 줄여주지만, 그 이유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참가자의 혈액 검체를 분석한 결과, 열량 섭취를 제한하면 핏속 지질인 아라키돈산 수치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아냈다. 지질은 에너지를 저장하고 세포 사이에 정보를 전달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분자다. 참가자들이 다시 식사를 하자마자 아라키돈산 수치는 떨어졌다. 연구팀은 “실험실에서 배양한 면역세포에 대한 아라키돈산의 효과를 연구한 결과, 아라키돈산이 NLRP3 인플라마좀의 활동을 줄여준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연구팀에 의하면 열량이 높은 식단은 만성염증과 관련된 비만, 제2형당뇨병, 심장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염증은 부상이나 감염에 대한 인체의 자연스러운 반응이다. 이 과정은 세포 내에서 경보처럼 작용해 손상을 감지하면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염증을 일으키는 ‘인플라마좀(inflammasome)’ 등 다른 메커니즘에 의해 촉발될 수 있다. 인플라마좀은 불필요한 세포를 파괴해 세포의 내용물이 체내로 방출돼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연구 결과(Arachidonic acid inhibition of the NLRP3 inflammasome is a mechanism to explain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fasting)는 국제학술지 ≪셀 레포츠(Cell Reports)≫에 실렸다.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당뇨병 등 각종 만성병 덜 걸리고, 건강한 노후 보낼 확률 46% 더 높아

단백질을 과일 채소 등 식물성으로 섭취하는 중년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만성병에 덜 걸리고 늙어서도 더 건강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터프츠대 연구팀은 하버드대 간호사 건강 연구’(1984~2016)에 참가한 중년 여성 48000명 이상을 추적 관찰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하버드대 간호사 건강 연구에 참가한 38~59(초기 연령) 여성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추적 관찰했다. 이들은 연구 초기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것으로 간주됐다. 연구팀은 이들 참가자가 스스로 보고한 데이터를 분석했다. 또한 당뇨병 등 만성병 11가지에 걸리지 않았거나 신체 기능이나 정신 건강이 크게 낮아지지 않은 여성의 식단과 그렇지 않은 여성의 식단을 비교 분석했다.

연구팀은 또 참가자를 대상으로 4년마다 설문조사를 한 뒤 분석했다. 각 식품의 섭취 횟수에 단백질 함량을 곱해 단백질 섭취량을 계산했다. 그 뒤 하버드대 식품 성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모든 식품의 단백질 양을 합산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과일, 채소, , 콩류, , 파스타 등 식품에서 식물성 단백질을 더 많이 섭취한 중년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심장병, , 당뇨병, 인지장애, 정신건강장애 등에 걸릴 위험이 크게 낮았다. 식물성 단백질을 더 많이 섭취하는 중년 여성은 노년기까지 건강할 확률이 약 46%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성 단백질이 들어 있는 음식에는 으깬 감자, 땅콩버터, 시리얼, 견과류 등도 포함됐다. 이들 식물성 식품에는 단백질 외에 식이섬유, 미량 영양소, 유익한 화합물인 폴리페놀등도 많이 들어 있다. 철분과 비타민B12를 섭취하기 위해선 일부 생선과 동물성 단백질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단백질을 과일, 채소, 견과류, 씨앗 형태로 섭취하는 게 바람직하다. 연구의 책임 저자인 안드레스 아르디슨 코랏 박사는 중년기에는 단백질을 대부분 식물성 식품에서 섭취하고 소량만 동물성 단백질을 섭취하는 게 노년기 건강과 생존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Dietary protein intake in midlife in relation to healthy aging – results from the prospective Nurses’ Health Study cohort)미국 임상영양학 저널(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실렸다.

반응형
Posted by A&Z
카테고리 없음2023. 12. 26. 18:40
반응형

태아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GDF15’ 단백질 발견

임산부의 입덧을 일으키는 태아의 호르몬이 발견돼 입덧도 예방 및 치료를 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등 공동 연구팀은 사람 태아에서 생성되는 호르몬인 ‘GDF15’ 단백질이 임산부 입덧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연구의 공동 저자인 스티븐 오라일리 경 교수는 "GDF15가 산모의 뇌에 있는 특정 수용체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막으면 입덧을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입덧 증상이 얼마나 심한지는 태아가 생성하는 호르몬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 연구팀은 여러 가지 관련 연구에 참여한 여성들의 데이터를 조사했다. 또 인간 유전학, 임산부의 혈액에서 호르몬을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 세포와 생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 등 다양한 접근 방식을 조합해 활용했다.

연구팀은 산모가 임신 전에 GDF15에 노출돼 회복력을 키운다면 임신중독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에 의하면 메스꺼움과 구토는 임산부의 약 70%에 영향을 미친다. 가장 나쁜 형태인 임신중독증에 걸리면 매우 심한 메스꺼움, 구토 등 증상을 보인다. 정상적으로 먹거나 마실 수 없게 된다. 영국 왕위 계승자인 윌리엄 왕자의 아내인 웨일즈 공주는 세 번의 임신 기간 동안 모두 중증 구토를 겪었다.

연구의 제1 저자인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마를레나 페조 박사는 “내가 임신했을 때 몸이 너무 아파서 거의 움직일 수 없었다. 임신성 메스꺼움은 매우 흔한 증상인데도 내 상태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는 걸 알고 입덧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페조 박사팀은 GDF15와 입덧과다증(임신오조증) 사이의 유전적 연관성을 밝혀냈다. 그는 "이제 임신중독증의 원인을 이해했으니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Gdf15 linked to maternal risk of nausea and vomiting during pregnancy)는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실렸다.

반응형
Posted by A&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