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2024. 4. 1. 00:54
반응형

“젊음과 각성, 활동적인 동기 부여에 중요”…숙면→활동적인 생활방식→건강 행동의 동기 부여

잠을 푹 잔 뒤에는 실제 나이보다 약 6년 더 젊게, 잠을 제대로 못 잔 뒤에는 실제 나이보다 약 4년 더 늙게 느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스톡홀름대 심리학과 연구팀은 성인 615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두 차례의 연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의 1 저자인 레오니 발터 박사(정신신경면역학)수면이 기능과 전반적인 건강에 필수적이라는 점을 고려해, 수면이 젊다는 느낌을 주는 어떤 비결이 있는지 테스트하기로 했다 말했다.

연구팀은 첫 번째 연구에서 18~70세 429명에게 수면 시간과 졸린 정도 등에 대해 물었다. 그 결과 응답자들은 최근 30일 동안 수면이 부족할 때마다 평균적으로 실제 나이보다 약 3개월(평균 0.23년) 더 늙게 느낀다고 답변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두 번째 연구에서 숙면을 취하면 얼마나 젊고 활기차게 느껴지는지 알아보기로 했다. 연구팀은 18~46세 186명에게 이틀 밤 동안 침대에서 4시간 자도록 하고, 또 다른 이틀 밤 동안 침대에서 9시간 자도록 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잠을 9시간 자서 수면이 충분한 사람은 실제 나이보다 평균 5.81세 더 젊다는 느낌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잠을 4시간만 자서 수면이 부족한 사람은 실제 나이보다 평균 4.44세 더 늙었다는 느낌을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잠 때문에 느낄 수 있는 나이의 차이가 10년도 더 되는 셈이다.  

종전 연구 결과를 보면 실제 나이보다 더 젊다는 느낌은 건강하게 더 오래 사는 것과 관련이 있다. 특히 자신이 젊다고 느끼는 사람의 뇌가 실제 생물학적으로 더 젊다는 증거도 있다. 발터 박사는 "숙면은 젊음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잠을 푹 자면 생활방식이 더 활동적으로 바뀌고 건강에 좋은 행동을 하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젊음과 각성은 활동적인 동기 부여에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참가자에게 실험실 방문 전 24시간 동안 낮잠, 격렬한 신체활동을 피하고 금주하고 카페인이 들어 있는 제품을 섭취하지 않게 했다. 참가자는 오전 세션을 위해 금식하거나 오후 세션 전 4시간 이상 음식을 먹지 않았다. 혈액 검체를 채취한 뒤 아침식사나 점심을 제공받았다. 연구팀은 주관적 연령 측정을 혈액 검체 채취 전에 끝냈다.

이 연구 결과(Sleep and subjective age: protect your sleep if you want to feel young)는 《영국 왕립학회 회보 B: 생물학(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에 실렸다.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야간 빛공해에 계속 노출되면…뇌졸중 위험 43%↑

대도시의 밝은 실외 야간조명에 지속적으로 많이 노출되면 뇌졸중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 저장대 의대 연구팀은 항구도시 닝보에 사는 성인 2만8302명을 6년 동안 추적 관찰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Outdoor Light at Night, Air Pollution, and Risk of Cerebrovascular Disease: A Cohort Study in China)는 미국심장협회(AHA) 학술지 ≪뇌졸중(Stroke)≫에 실렸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밤에 밝은 인공조명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사람은 뇌로 가는 혈류에 영향을 받아 뇌졸중에 걸릴 위험이 높아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밝은 실외조명은 밤에 환경의 가시성을 높이고 인간의 안전과 편안함을 높이기 위해 쓰인다. 그러나 연구팀에 의하면 인공 조명의 지나친 사용으로 전 세계 인구의 약 80%가 빛공해 환경에서 살고 있다. 종전 연구 결과를 보면 밤의 밝은 인공조명에 많이 노출되면 심혈관병 위험이 높아진다.

연구의 교신 저자인 왕 지안빙 박사(공중보건, 배분비학)는 "흡연, 비만, 제2형 당뇨병 등 심혈관병 위험 요인을 줄이는 데는 꽤 큰 진전이 있었지만 심혈관병의 세계적 부담을 더 줄이기 위해선 환경적 요인을 많이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2015~2021년 인공위성 이미지를 이용해 심혈관병이 없는 닝보 주민(평균 연령62세, 약 60%가 여성)의 야간 빛공해 노출을 분석했다. 추적 관찰 기간 동안 777명이 혈전(피떡)으로 인한 허혈성 뇌졸중(뇌경색)에, 133명이 출혈성 뇌졸중(뇌출혈)에 걸리는 등 총 1278명이 뇌혈관병에 걸린 것으로 집계됐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밤에 빛공해에 가장 많이 노출된 사람은 가장 적게 노출된 사람에 비해 뇌혈관병에 걸릴 위험이 43%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특히 도시 주민은 빛공해의 위험으로부터 스스로 보호하기 위해 노출을 줄여야 한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인공 빛(광원)에는 형광등, 백열등, LED(발광다이오드) 불빛 등이 있다. 밤에 이런 빛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수면을 촉진하는 호르몬(멜라토닌) 생성이 억제될 수 있다. 이는 사람의 24시간 생체시계에 나쁜 영향을 미쳐 수면을 방해할 수 있다. 숙면을 계속 취하지 못하면 심혈관병 위험이 높아진다. 연구팀은 "세계에서 인구밀도가 매우 높고 오염된 지역에 사는 사람을 위해 대기오염과빛공해 등 환경 요인으로 인한 질병 부담을 줄이는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야간에 사용하는 실내조명 제품, 커튼 등 차광 조치에 대한 데이터를 얻지 못한 점 등이 이번 연구의 한계점이다.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팀, 지원금 29억원으로 실험실 연구 및 첫 3000회 분량 생산 본격화

담배를 피우는 등 폐암에 걸릴 위험이 높은 사람들이 예방백신으로 폐암을 막을 수 있는 날이 머지않은 것 같다.

영국 옥스퍼드대 등 공동 연구팀은 영국 암연구소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아, 폐암 백신의 실험실 연구와 백신 초기 분량 3000회분의 제조에 나선다고 미국과학진흥회 포털 ‘유레카얼럿(Eurekalert)’이 소개했다.

연구비는 총 170만파운드(약 28억6800만원)로 2년에 걸쳐 지원받는다. 옥스퍼드대,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 등이 개발한 폐암 백신(LungVax)의 제조에는 옥스퍼드/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과 비슷한 기술이 쓰인다. 연구팀은 옥스퍼드대 바이오 생산시설에서 폐암 백신을 만들 계획이다.

연구팀에 의하면 폐암 세포는 신항원이라는 ‘적신호’ 단백질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정상 세포와 다르게 보인다. 신항원은 세포의 DNA 안에 암을 일으키는 돌연변이가 있어 세포 표면에 나타난다. 폐암 백신(LungVax)은 비정상적인 폐 세포에서 이 신항원을 인식하도록 면역체계를 훈련시키는 DNA 가닥을 갖고 있다. 이 백신은 면역체계를 활성화해 비정상적인 폐세포를 죽여 폐암을 막는다.

연구팀은 실험실에서 이 백신이 성공적으로 면역반응을 일으키는지 확인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백신에 대한 임상시험으로 넘어간다. 향후 초기 임상시험에서 좋은 결과를 내면 폐암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대규모 임상시험을 실시할 예정이다. 폐암에 걸릴 위험이 높은 그룹에는 담배를 피우고 있거나 흡연한 적이 있고, 현재 영국 일부 지역에서 폐 건강 검진을 받을 자격이 있는 55~74세가 포함될 수 있다.

영국에서는 매년 약 4만8500명이 폐암으로 진단을 받는다. 폐암의 72%는 흡연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예방 가능한 암의 가장 큰 원인이다. 연구 책임자인 옥스퍼드대 팀 엘리엇 교수(면역종양학)는 "면역체계가 정상과 암을 구별하기는 어렵다. 면역체계가 암을 인식하고 공격하도록 하는 것은 오늘날 암 연구의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다”라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에서 입증된 옥스퍼드의 백신기술을 토대로 폐암 백신을 제공할 수 있다. 성공하면 영국에서만 매년 수만 명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폐암 백신은 암을 예방해줄 뿐만 아니라 초기 단계의 암 환자에게 투여하면 항암 치료의 성공 확률이 높아진다. 폐암 백신의 임상시험을 주도할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마리암 자말-한자니 교수는 "폐암 환자의 10% 미만이 10년 이상 생존한다. 폐 건강 검진에서 폐암 위험이 가장 높은 사람들을 일찍 발견하면 많은 사람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컴퓨터 모델과 종전 연구를 바탕으로 볼 때, 이 백신이 모든 폐암의 약 90%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내다봤다. 폐암 백신이 금연을 대체할 수는 없다. 담배를 끊는 게 폐암 위험을 줄이는 최선의 방법이다. 하지만 초기 단계의 암을 예방할 수 있다.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유산소 운동 중 화장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메이크업하면 모공 막히고 수분 유분

화장을 곱게 한 채 운동을 하는 여성이 많다. 여성의 최대 60%가 화장을 한 채 헬스클럽 러닝머신(트레드밀) 위를 달린다는 영국 조사 결과도 있다. 러닝머신 달리기 등 유산소 운동을 할 때 얼굴에 화장품 파운데이션 크림을 바르면 피부와 모공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피부가 건조한 여성은 운동할 때 메이크업을 하지 않는 게 바람직한 것으로 드러냈다.

한국교원대와 미국 텍사스 A&M대 공동 연구팀은 건강한 20대 대학생 43명을 대상으로 유산소운동 중 파운데이션이 피부와 모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 참가자는 남성 20(평균 나이 약 26), 여성 23(평균 나이 약 23)이었다. 연구팀은 이들에게 얼굴 절반 중 이마와 볼 위에 파운데이션 크림을 바르고 얼굴 절반에는 아무것도 바르지 않은 채 러닝머신 위에서 20분 동안 달리게 했다. 얼굴 절반을 대조군처럼 활용한 셈이다. 연구팀은 러닝머신 운동 전후에 참가자의 피부 수분, 탄력, 모공, 피지, 유분 수치 등을 피부분석기로 측정해 분석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메이크업을 하지 않은 부위와 메이크업을 한 부위에서 모두 수분이 증가했지만, 메이크업을 한 부위에서 수분 증가 폭이 훨씬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메이크업이 피부의 수분 증발을 가로막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수분이 증가했다는 것은 땀을 흘렸다는 뜻이다.

또한 메이크업을 하지 않은 피부에서는 운동 후 모공이 많이 커진 반면, 메이크업을 한 피부에서는 모공이 썩 커지지 않았다. 메이크업이 모공을 막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유분 수치는 메이크업을 하지 않은 부위에서는 높아졌으나, 메이크업을 한 부위에선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메이크업을 하면 얼굴 피부의 적절한 유분 수치를 유지하기 힘들어 피부가 건조해질 수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운동 후 피부의 탄력은 메이크업을 하지 않은 부위보다 화장을 한 부위에서 더 높아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탄력과 수분 메커니즘의 결과일 수 있다.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의 교신 저자인 한국교원대 박동선 박사는 "운동 등 신체활동을 할 때 화장을 하는 사람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피부 건강을 위해선 화장을 지운 상태에서 운동하는 게 더 좋다"고 말했다. 그는 수분과 유분이 부족하면 피부가 건조해지고 여드름이 생길 수 있다. 건성 피부를 가진 사람은 특히 유산소 운동 때 화장을 하지 않는 게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피부는 사람 몸에서 가장 큰 기관이다. 환경 미생물의 침입을 막는 보호막이자 장벽 역할을 한다. 미생물의 나쁜 영향을 최소화해 피부 건강을 보존, 개선하려는 연구가 새로운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피부 건강은 수분과 유분의 수치, 탄력, 모공 수, 피지 분포로 평가할 수 있다. 모공이 너무 크거나 피지가 많으면 피부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피부의 피하 조직에 문제가 생기면 여드름, 블랙헤드, 화이트헤드, 구진, 농포, 낭종, 결절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블렉헤드는 모공 속에 끼어 있는 깨 모양의 찌꺼기이고, 화이트헤드는 오돌토돌한 좁쌀 여드름이다.

피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선 잠을 7~9시간 푹 자야 한다. 영양을 골고루 섭취하고, 자신에게 딱 맞는 스킨케어 요법을 유지하고, 운동을 규칙적으로 해야 한다. 피부는 땀을 통해 내부 온도를 조절하면서 모공을 넓혀 노폐물과 피지를 배출한다. 피부 표면의 노폐물을 처리하지 않고 내버려 두면 급만성 피부 트러블을 일으킬 수 있다.

한국교원대는 이번 연구 설계에 대해 텍사스A&M대 도움을 받았다. 화장품 성분에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참가자를 연구 대상에서 제외했다. 이 연구 결과(Influence of Cosmetic Foundation Cream on Skin Condition During Treadmill Exercise) 화장품 피부과학 저널(Journal of Cosmetic Dermatology) 실렸다.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안정기인 4~9세에 부모 역할 중요엄격하고 지시적인 양육, 아이의 자기조절 실행기능에 영향

활달한 기질을 가진 아이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에 걸릴 위험이 더 높다. ADHD 어린이의 안정기(4~9)에 부모가 엄격하고 지시적인 양육 태도를 취하면 ADHD 발병 예방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워털루대 연구팀은 어린이 291명을 생후 4개월부터 15세까지 추적 관찰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의 공동 저자인 헤더 헨더슨 교수(발달심리학)부모의 사전 예방적 조치가 자녀의 ADHD 발병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지시적인 양육은 자녀의 자기조절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에 의하면 학교에 들어가기 전 어린이의 활달함을 반드시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활달한 아동은 작업 기억과 유연한 사고 등 자기 조절과 실행 기능에 문제를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기질, 양육, 정신의 실행 기능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아동의 ADHD 증상을 일으킨다. ADHD 어린이는 안절부절하지 못하고 집중력이 떨어지고 충동이 강하는 등 증상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행동치료와 처방약물을 함께 써 치료한다.

자녀의 양육에 대한 부모의 참여도가 낮으면 아이가 ADHD 증상을 나타낼 위험이 높아진다. 헨더슨 교수는 "높은 흥분감, 호기심, 낯선 사람과 상황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 등 아동 기질의 초기 특성이 가족 요인과 결합해 일부 아동에게 ADHD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참가 아동의 3세 때 기질과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을 관찰한 뒤, 4세 때의 행동(실행 기능)을 평가했다. 또한 이들 아동의 5~15세 때 6회에 걸쳐 부모가 보고한 ADHD 증상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아동의 기질과 양육 방식이 함께 작용해 아동의 행동(실행 기능)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동기 초기에 활달한 기질을 보이고 실행 기능이 낮거나 정상에 가깝고 새로운 상황을 탐색하는 동안 지시적이고 참여적인 양육을 덜 받는 아동은 어린 시절 내내 ADHD 증상이 점점 더 심해졌다. 또한 부모가 아이의 ADHD 증상이라는 새로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 언어적, 신체적 신호로 자녀를 안내하는 등 보다 더 지시적이고 참여적인 양육 행동을 통해 ADHD로 이어지는 경로를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헨더슨 교수는 “ADHD 증상은 일반적으로 5~9세에 안정되고 9~15세에 감소한다. 그러나 기질이 활달하고 부모의 지시적인 양육을 덜 받은 어린이는 안정화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언어적, 신체적 단서를 통해 아이를 잘 안내하고 지시하는 양육은 아이의 자기조절 능력을 발달시키고 ADHD 증상이 심해지는 걸 막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ADHD 증상의 발병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특정 요소가 있음을 시사하며 조기 표적 개입이 중요함을 일깨워준다. 이 연구 결과(The Developmental Unfolding of ADHD Symptoms from Early Childhood Through Adolescence: Early Effects of Exuberant Temperament, Parenting and Executive Functioning)아동 및 청소년 정신병리 연구(Research on Child and Adolescent Psychopathology) 저널에 실렸고 미국과학진흥회 포털 스터디파인즈(Studyfinds)’가 소개했다.   

반응형
Posted by A&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