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모저모/이슈_생활2010. 9. 26. 14:42
반응형


알선수재 및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기소된 안원구 전 국세청 국장이 항소심 공판에서 이명박대통령이 '도곡동 땅'의 실소유주로 나와 있는 전표가 있다고 밝혔다고 경향신문이 오늘 보도했습니다. 안 전 국세청 국장은 기업들의 세무조사에서 편의를 봐주겠다며 자신의 부인이 운영하는 갤러리의 미술품을 강제로 판 혐의로 구속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구교형 기자의 보도입니다. 

반응형
Posted by A&Z
이모저모/이슈_생활2010. 9. 26. 14:21
반응형


화가 로갱과 고흐를 형제인 줄 알았던 공고 출신의 삼성맨이 프랑스 파리 루브르박물관의 미술해설가가 됐습니다. 박물관을 찾는 많은 사람들에게 유명한 화가들의 그림을 해설하는 그는 
옛날 명화를 제대로 해설하자면 신화,역사,성경을 알아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중앙선데이 임현욱기자가 보도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A&Z
이모저모/리뷰2010. 9. 26. 12:22
반응형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이 이 회사의 향후 비전 30년을 발표했습니다. 손회장의 말에는 실버세대,특히 혼자 살다 아무도 모르게 죽는 죽음(고독사)과 혼자사는 노인(독거노인) 들에 관한 것이 들어 있습니다. 손회장의 빌표내용을 담은 동영상을 전문 번역한 분이 있습니다. 실버 관련 내용을 간단히 옮겨 싣고, 관련 사이트를 링크합니다. [원문 출처] 
 

.......

두번째는 고독입니다만, 혼자사는 독거노인이 현재 470만명인데, 지금부터 30년후에는 배로 늘어나서 800만명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독거노인의 경우에는 죽을 때도 아무도 모른 채 죽어버리는 경우도 앞으로 늘지 않을까요? 고독사(역자주-아무에게도 알려지지 않고 혼자 죽는 것)가 도쿄만해도 5천명. 전국 5만명의 사람이 이런 상황입니다. 그런 죽음은 너무나도 슬프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기를 바랍니다.

다음은, 절망.. 절망을 어떻게 측정하느냐는 어려운 문제입니다만, 예를 들어 절망해서 자살했다. 일본의 자살율은 세계에서 가장 높다고 합니다. 자살의 가장 큰 약 50%의 이유는 건강문제, 25%는 경제적인 문제입니다. 이것도 줄일 수 있으면 하고 진심으로 바라고 있습니다.

슬픔이라는 것은 앞서 말씀드린바와 같이 죽음, 고독, 절망… 여러가지가 있습니다만, 죽음도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고독“입니다. 가까운 사람, 사랑하는 사람이 죽어버려 자기도 고독감으로 고통을 받게됩니다. 절망도 도 어떤 의미로는 고독으로 표현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인생에서 가장 큰 슬픔은 “고독“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내용 더 보기  

반응형
Posted by A&Z
IT모바일SNS/IT 웹서핑2010. 9. 21. 22:44
반응형

추석 전야인 21일 오후 10시를 전후해, 소셜미디어 또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로 불리는  트위터에 대란이 발생했다. 

트위터에 느닷없이 '근조(謹弔)'를 상징하는 듯한 검은띠 등 이상야릇한 띠가 등장해 트위터 사용자들의 눈을 가로막았다. 뿐만아니라 손으로 굴리고 있던 마우스를 검은 괴대(怪帶)에 갖다대는 순간,자동적으로 해당 글이 날아가는 사고가 발생했다. 

블로거 스탄 쉬레더는 마셔블닷컴에 쓴 글에서 "트위터의 마우스오버 보안 결함(Twitter mouseover flaw) 탓에 수많은 트위터 이용자들이 곤욕을 치렀다"고 지적했다.

국내의 한 트위테리언(@shesMD)은 " 자바스크립트로 작성돼,아이디 옆 사진에 마우스를 갖다대기만 해도 자동으로 프로필이 뜨는 호버카드(hobercards) 기능을 악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또 한 트위테리언(@triby84)은 '익스플로어는 마우스 클릭만으로 바이러스에 감염되고, (다른 웹브라우저인) 파이어폭스와 크롬은 스팸 전파를 한다"고 말했다.   

트위터가 이날 밤 해커의 공격을 당해 많은 이들이 '바이러스 공포'에 시달렸으나, 휴대폰에는 큰 영향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국내엔 원래의 트위터닷컴 외에 한국형 트위터(twtkkr.com 이나 tweetkoreans.com 등)를 쓰는 사람들은 피해를 보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반응형
Posted by A&Z
카테고리 없음2010. 9. 18. 13:46
반응형

반응형
Posted by A&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