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의 본질은 호기심이다. 설렘 속에서 낯선 곳에 도착하면, 주변이 사뭇 궁금해진다. 이국적인 풍물이 널려 있는 외국이나, 눈에 익은 풍광이 펼쳐지는 국내나 매한가지다. 사람은 본디 ‘호기심 인간’(Homo Curiositas)임에 틀림없다.
여행 목적지에 도착한 시간이 저녁이나 밤이라면, 다음날을 기약하고 잠자리에 들 수밖에 없다. 알람을 맞추든, 선잠을 자든, 이튿날 아침 일찍 잠자리를 박차고 나선다. 호텔을 중심으로 얼추 반경을 그은 다음, 보물을 찾는 소년처럼 발걸음을 재촉한다. 한 바퀴 빙 돌아올 땐, 이미 가슴이 뿌듯해져 있다. 밤새 몸을 누였던 잠자리의 윤곽이 확연히 드러나면서 청명한 기분이 든다.
굳이 명승지가 아니더라도, 호기심을 자극하는 낯선 곳이 널려 있다. 발바닥이 닿지 않은 골목길도 마음을 끈다. 어쩌면 숨이 넘어갈 때까지 그냥 지나칠 수도 있는 곳. 매력 덩어리가 따로 없다. 어디든지 콤파스를 찍는 곳이 바로 출발점이다.
‘500m+α’ 걷기는 누구든지 발품을 팔아 낯선 곳을 익숙한 곳으로 바꾸게 해준다. 발과 다리가 멀쩡하고, 숨을 쉬고 있어야만 누릴 수 있는 축복이다. 삶의 특권이다. [글·사진 = 김영섭(edwdkim@naver.com)]
"밥은 먹고 다니냐?"
애고개? 서울에서 살기 시작한 지 수 십년이 됐지만, 익숙하지 않은 지명이다. 최근 몇 년 사이에야 알았다. 애오개는 아현(阿峴)의 옛 이름이다. 조선시대에는 한양 도성과 마포나루·강화도를 오가려면 애오개 고개 또는 만리재 고개를 넘어야 했다. 당시로선 교통 요충지였던 셈이다. 만리재보다 더 낮고 작았기 때문에 아이고개·애고개라고 부르다 애오개가 됐다.
마포 평생학습관 아현분관. 작은 공공도서관이다. 책이나 비디오도 빌려 보고, 공부도 할 수 있다. 지하철 5호선 애오개역 3번 출구에서 충정로 쪽으로 가다가 오른쪽에 있다. 평일엔 노인들이 많이 보인다.
아주 작은 근린공원인 아현공원이다. 남녀노소가 공존하는 공간이다. 그러나 낮 시간엔 역시 노인들의 놀이터다.
최박사 순대·순대국·족발 전문점과 곤지암 소머리국밥. 최박사 순대·순대국·족발 전문점은 혹시 최대포 집과 관련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마포에는 최씨를 내세운 집들이 유독 많은데, 그 이유가 있을 것 같다. 내가 아는 최대포집은 고려시대 화약의 발명가 최무선의 후예들(영천 최씨)이다.
'음악하는 우리들의 지하본부_여기는 뮤지스땅스 입니다'라는 문구가 눈에 띈다. 걷지 않았을 땐 전혀 관심을 끌지 못했던 핫플레이스가 여기에 숨어 있었다니... 레지스땅스를 연상케 하는 작명에 끌려 지하로 내려가 본다.
지하 1,2층에 녹음실,분장실,공연장,개인작업실 등이 꽤 많이 배치돼 있다. 계단에는 각종 음악 행사를 알리는 포스터가 자리잡고 있다.
새로 지은 아현 I-PARK 아파트. 입주가 한창이다. 내부 조경은 아직 완성되지 않았다. 부동산 중개업자로 보이는 중장년 남녀의 발걸음이 분주하다.
아현동의 서서울 삼성아파트. 30평형(100㎡)의 매도호가는 5억 3천~4천 만원이다. 일정 규모 이상의 단지를 이루지 못하는 아파트는 값이 좀처럼 오르지 않는다.
마포 아현 실버복지관. 만 65세 이상 주민이면 그림그리기 등 여러 과목을 배울 수 있다. 다른 지역 주민들에게도 공개하면 무슨 큰 문제가 생길까?
마포경찰서 공덕지구대 아현치안센터. 야간에 부녀자들이 긴급 상황에 닥칠 땐 이런 곳이 큰 도움이 된다. 인근 주민들은 안도의 한숨을 쉬어도 되지 않을까.
서울제일교회. 기독교 한국침례회 소속 교회당이다. 산동네 교회치고는 큰 편이다.
느닷없는 통일목. 1988년 서울올림픽의 성공을 기원하는 뜻에서 심은 나무라고 한다. 벌써 30년이 지났다.
서부수도사업소. 옛 서울여고 건물을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요즘 수돗물은 저지대에선 그럭저럭 믿을 만하다. 산동네에선 아직도 물이 잘 안나오고, 쇳물이 나오는 곳이 있을지도 모른다.
아현동 마을정원. 누가 와서 쉬는 곳인지는 잘 모르겠다. 여름에는 노인들이 부채를 들고 나와 더위를 쫓을 수 있는 공간으로 보이긴 한다.
고등학교 무시험제도가 생긴 이후, 각계각층에 인재들을 대량 배출한 신흥 명문고등학교인 환일고. 절친한 회사 후배의 모교다. 넥슨 뇌물 사건에 얽힌 진경준 전 검사장도 여기 출신이다.
환일고, 만리재 고개 일대엔 아직도 봉제공장이 적지 않다. 어패럴,패션 등 단어도 이따금씩 눈에 띈다. 이 길을 따라 곧장 내려가면 만리재 고개가 고개를 내민다.
왼쪽이 만리재 고개 및 서울역 방향 , 오른쪽이 한겨레신문 사옥 방향. 왼쪽은 재개발로 아파트 신축이 한창이다.
만리동 고개(만리재) 버스정류장.
한겨레신문 사옥. 초라하지만 한국 저널리즘의 새 역사를 썼고, 다른 언론사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한겨레신문 사옥 건너편의 내리막길. 왼쪽 위로는 타이어가 꽤 많이 쌓여 있다. 앞 왼쪽엔 오래된 이발소가 조용히 손님을 기다리고 있다.
공덕동 주민센터 근처. 남원추어탕(오른쪽), 신촌설렁탕(왼쪽) 등 쓸만한 맛집이 꽤 있다.
전통과 역사를 자랑하는 (주)교학사 사옥. 오른쪽에 대로가 있다.
다시 애오개역. 오른쪽 오르막길을 오르다 우회전해 쭉 가면 한국정교회와 예일학원이 나온다.
한국정교회 성니콜라스 대성당은 처음엔 구한말 러시아 정교회의 영향을 받았다. 하지만 해방 이후엔 그리스 정교회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봐야 한다.
정교회의 한반도 첫 예배는 구한말인 1900년 2월 17일 주한 러시아 공사의 지원으로 열렸다. 러시아는 1903년 4월 대한제국 고종에게서 정동 부지를 사들여 성당을 세웠고, 1967년 현재의 장소(마포구 아현동)로 성당을 옮겼다.
현재의 정교회 한국관구장 주교(암브로시오스 아리스토텔리스 조그라포스 / 한국외대 그리스·불가리아과 교수)는 그리스인이며, 2008년 7월 착좌식을 갖고 부임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한국관구는 콘스탄티누폴리스 총대주교청의 산하기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