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umeronym는 단어의 긴 철자를 모두 쓰기 싫어서, 단축해 쓰는 말. 숫자 단어 또는 숫자 약어라는 뜻이다.
번역 분야에서도 종종 볼 수 있다. 번역회사의 자체 소갯말에도 나오는 경우까지 있다.
i18n | internationalization(국제화) |
l10n | localization(현지화) |
g11n | Globalization(세계화) |
k8s | Kubernetes(쿠버네티스) |
t9n | Translation ( 번역 ) |
m17n | multilingualization(다중화) |
a12n | administration(관리) |
a11y | accessibility(접근성) |
v12n | virtualization(가상화) |
c14n | canonicalization(정규화) |
s13n | standardization(표준화) |
p13n | personalization(개인화) |
d11n | documentation(문서화) |
e13n | Europeanization(유럽화) |
n11n | normalization(표준화) |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Y2K=The Year 2000 (problem)
반응형
'Translation Practice > 산업번역(Industrial Transl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rm W-8BEN이란? (0) | 2020.08.20 |
---|---|
[번역 용어]QC (0) | 2020.08.19 |
Glossary & Exel files (0) | 2020.02.15 |
트랜스크리에이션(Transcreation) (0) | 2019.11.22 |
산업번역(Industrial Translation)에의 길 (0) | 2019.11.19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