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4: 고용주가 월급에서 세금을 미리 떼고 줘도 된다고 종업원이 작성해주는 payroll tax withhold 허가 양식. 그래야 고용주가 연말에 연간 총 월급 명세서(W-2)를 발행해 줌.
◎ W-8BEN: 해외의 용역 제공자가 미국 시민권자나 영주권자 및 세법상 미국 거주자가 아님을 증명해 원천징수(30%) 등 과세를 피할 수 있게 해주는 서류 양식. BEN은 수혜자(Beneficiary)란 뜻이며, 미국과 조세 협정을 체결한 나라의 국민은 이 협정의 혜택을 누릴 수 있음
◎ Form 1099: 고용주가 회사 소속 직원이 아닌 독립 계약자(independent contractor)에게 발행해주는 연간 총 지급액의 명세서.이를 발행하는 사업주는 대체로 세금을 공제하지 않고, IRS에 Form 1099 사본을 보냄.
◎ W-9: 고용주가 피고용인에게 Form 1099를 발행할 것임을 알려주기 위해 발행하는 서류 양식.
Routing error: 번역 이외의 프로그램 에러(아예 번역이 안 뜸) Question / code text error: 일반적인 번역문/플레이스홀더 오류 Question / code(s) missing / incorrect: 번역문 누락 Inserts: 원문에 없는 내용 삽입 Layout / formatting problem: 글씨 흘러넘침 또는 번역은 제대로 입력돼 있으나 잘 보이지 않는 오류 Survey failure: 설문조사 등 진행시 오류 발생 Other error: 기타
대표적인 캣툴(CAT tool)인 SDL TRADOS의 Glossary는 엑셀 파일을 Glossary converter에 넣어 특수 확장자(.sdltb)가 붙는 파일로 변환하고, SDL MultiTerm Termbase에서 파일을 가져와 등록시킨 뒤 SDL TRADOS에서 이용하면 된다.
다음은 Glossary에 관한 메모. <Recently updated, Feb.28,2020 >
Glossary name
Exel files
Reference
realstart
(6,293 words)
voca30k_plus(2,193 words)
sexologyNhealth(214 words)
pharmblanket(986 words)
accounting_IFRSsamil based (2,187words)
※ medicine terminology(713)
accounting<previous>287 words
Cosmetics_tech
(19,710 words)
cosmelist 1(19,710 words)
hantranedu.net
Bus_minusMKT
(2,767 words)
bank management(528 words)
finance(1,524 words)
general terminology(1,115 words)
Science & Technology
(engineering)
(69,224 words)
aviation(26,232 words)
physics(12.306 words)
metal engineering(8,971 words)
naval architecture(13,576 words)
biology(8,139 words)
※ Separately available
life science(8,352 words) =biology + sexologyNhealth
한국산업번역교육( https://hantranedu.net )의 대표 번역가 임윤 씨에 따르면 산업번역(Industrial Translation)은 출판 번역과 영상 번역을 뺀 나머지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산업번역은 기술 번역(technical translation), 비즈니스 번역(business translation), 문서 번역(document translation), 전문 번역(professional translation, specialized translation) 등을 모두 합친 방대한 영역이라고 할 수 있겠다.
한국산업번역교육의 가이드를 보면 산업번역은 상품과 서비스의 기획, 제조, 마케팅 등의 활동을 수행하며 수요가 발생하는 번역, 전문지식과 전문용어가 요구되는 번역이다. 이런 것들은 임윤 대표의 저서 ‘어쩌다보니 번역가’를 읽어보면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평소 산업번역에 대해 거의 모르는 사람들이 이 분야에 접근하려면 사막 같은 길을 걸어야 한다. 기본 수준 이상의 번역 실력은 물론, 해박한 컴퓨터 지식과 번역 에이전시들이 요구하는 CAT(Computer Aided Translation) 툴을 익숙하게 다룰 줄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 사막과 같은 여정에서는 오아시스와 지리를 잘 아는 가이드 겸 친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런 역할을 해주는 곳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기관이 있으니, 그곳이 바로 한국산업번역교육이라 하겠다.
한국산업교육에 따르면 이 교육기관이 선도하는 컨설팅의 내용을 성실하게 따라갈 경우 산업 번역가로 홀로서기를 할 수 있는 기간은 공학. 의학 등 특수한 전문 분야의 경우 최소한 3~6개월, 일반 분야의 경우 최소한 3~12개월이 걸린다.
산업 번역가는 식품 포장지의 설명, 마케팅 문구 등 상품 관련 번역을 비롯해 논문이나 법률. 금융 분야의 번역, 진단서. 이력서 등 개인적인 문서의 번역, 화물 선적. 검역. 계약서 등 서류의 번역, 특정 제품의 제조 공정 번역, 게임.소프트웨어.웹사이트의 번역 등 온갖 번역 일을 한다.
그런 일을 하는 직업인을 프리랜서 번역가(Freelancer Translator) 또는 링귀스트(Linguist)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