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명 수필/단상 회상2010. 7. 14. 23:27
반응형
"명예를 얻으려다가 자신의 몸을 망친다면 선비가 아니다. 몸을 망치며 진실을 얻지 못한 자는 다른 사람을 부리지 못한다. (이런 부류는) 남의 일의 도구가 되고, 남의 즐거움에 이용돼 자신의 즐거움을 누리지 못한 사람들이다."[行名失己 非士也 亡身不眞 非役人也  是役人之役 適人之適 而不自適其適者也]
(장자 『대종사』편)
 
상당 부분 맞는 말인 것 같다. 일에 중독돼 허우적거리면 안된다. 워커홀릭(WORKAHOLIC)의 굴레에 묶여 있는 사람은 건강을 해칠 수 있다. 또 명예욕에 눈이 멀어 바른 길을 벗어나면 패가망신할 수도 있다. 

자신이 삶의 주체가 되기는커녕 일의 노예가 되거나, 다른 사람의 장단에 놀아나는 사람은 결코 다른 사람들을 부릴 수 없다. 일의 노예가 되면 화를 잘 내게 된다. 상형문자인 한자가 이를 잘 표현해 주고 있다. 성낼 노(怒)는 천대 받고 멸시 당하는 '종(奴,노예)의 마음(心)'이다.
 

불교에선 마음(뜻)으로 짓는 세 가지 업(業)인 삼독(三毒)을 경계한다. 그건 탐욕(貪), 성냄(嗔),어리석음(痴)이다. 마음을 쉬는 법(停心觀)으로 탐,진,치를 없애라고 가르친다. 명예욕이 지나치거나 일 욕심이 너무 많으면 노예의 마음으로 떨어져 성냄(嗔)이 잦아진다. 

그리고 일을 그르치는 어리석음의 덫에 걸리기도 한다. 인도에서 발원한 불교(소승불교)가 중국으로 건너와, 지극히 현실적인 중국인의 곁에 다가선 데는 노자와 장자의 사상이 큰 힘이 됐다고 한다.   

이 복잡한 세상을 헤쳐 나가는 데는 '무위자연'이 도리어 걸림돌이 될 수 있겠다. 하지만 사람이 일의 아가리 속으로 끌려 들어가지 않기 위해선, 틈나는 대로 마음공부를 해야 겠다는 생각이 고개를 쳐든다. 노예가 되지 않고, 나 자신이 이 우주의 주재자가 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런 높은 경지에는 사실 도달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하지만, 마음의 밭을 가는 일을 매일 게을리하지 않는다면 우리가 그 밭의 주인이 될 수 있을 터다. 오늘 '경자유전(耕者有田)'을 내 멋대로 해석해 본다.   


반응형
Posted by A&Z
종명 수필/단상 회상2010. 7. 14. 23:21
반응형



금강선원(金剛禪院,원장 혜거스님)에 딸린 시민선방이 내걸고 있는 실천 및 수행 수칙에는 수처작주(隨處作主)라는 말이 포함돼 있다. 여기에 마음이 잠시 머무르면, 오만가지 생각을 떠올리게 된다. 가는 곳마다 주인의식을 갖고 삶을 꾸리라는 뜻의 이 네 글자는 입처개진(立處皆眞) 과 짝을 이룬다. 

그러니까 주인의식으로 모든 일을 대하면 서 있는 자리가 모두 참됨이라는 뜻이 되겠다. 한 걸음 더 나아가면 과거와 미래에 집착하지 말고, 오늘을 뜻깊게 살아야 한다는 말씀으로도 들린다.
 
서양에서도 '바로 지금,여기(Now, Here)'가 중요한 화두다. '생각할 염(念)'자 자체가 '현재(今)를 생각하는 마음(心)'이기도 하다. 하지만 속세에선 선종(禪宗)의 대선사인 임제 의현(臨濟 義玄)스님의 말씀을 곧이곧대로 따를 수 없는 측면이 있다. 

국내 기업의 한 총수는 과거 '머슴론'을 내비친 적이 있다. 또 어떤 조직에서 개개인이 처한 상황이 사뭇 달라, 자칫 화(禍)를 부를 소지도 없지 않다.
 
따라서 마음가짐은 주인의식으로 가득 채우되, 함부로 겉으로 드러내선 안될 것 같다. 구업(口業)을 짓지 않고, 다른 사람들이 도끼눈을 뜨지 않도록 하는 뾰쪽수, 그건 바로 아상(我相)을 버리는 데 있다.  '나라는 생각(我相), 남이라는 생각(人相), 중생이라는 생각(衆生相), 오래 산다는 생각(壽子相)에 대한 집착'(금강경)을  버리면 된다.  

아상을 버리면 굳이 표출할 필요도 없고, 다른 사람이 신경을 곤두세우게 할 위험성도 낮다. 마음을 닦아, 아상을 여의는 경지에 다가가면 '수처작주'를 하더라도 넘침이 없을 것 같다.     
 
  


반응형
Posted by A&Z
종명 수필/단상 회상2010. 7. 14. 23:18
반응형

요즘 무척 부러운 사람들이 있다. 권력을 움켜쥔 사람도 아니고, 엄청난 부(富)를 쌓은 사람도 아니다. 닭 눈(鷄目)을 갖지 않은 사람이 그지없이 부럽다. 

닭눈은 사뭇 도전적이고, 참을성이 없는 사람을 상징한다. 닭들은 만나기만 하면 부리로 쪼면서 싸우기 일쑤다. 관상학적으로 닭의 눈을 가진 사람은 며느리나 사위를 삼지 않는다고 한다. 

금강선원 원장인 혜거 스님의 말씀이다. 눈이 둥글고,눈동자가 노랗다면 영락없이 닭눈이라고 한다. 우스갯말로는 '순수 혈통의 닭눈'인 셈이다. 불교의 수행 측면에서도, 닭눈을 가진 사람은 끈기가 없어 제대로 수련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주변 사람들과 티격태격 하고, 공연히 다른 사람의 결점을 끄집어내 쪼는 닭눈이 나는 싫다.  이런 게 모두 업(業)의 소치인 줄은 모르겠으나, 나에게도 이런 닭눈의 DNA가 아직 꽤 많이 남아 있는 것 같다. 아니다. 어떤 땐 이런 기운이 지나침을 느낀다.  

오! 가여운 나의 경박함이여!  아직 오지 않은 것들을 괜스레 걱정하는 것도 이런 닭눈 탓이 아닐까.  이젠 잘 죽는 일을 생각하게 된다. 요즘 선서(善逝)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졌다. 석가모니불의 경지에 도달할 순 없겠지만, 잘 죽는 준비를 차근히 하고 싶다. 

그러자면 우선 닭눈에서 완전히 벗어나야 한다. 그래야 자기 감정의 조절에 뛰어난 사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희로애락을 남에게 들키지 않는 사람이었으면 좋겠다. 

조어장부(調御丈夫)의 경지를 목표 삼아 여생을 꾸리고 싶다. 혜거 스님은 박정희 전 대통령을 귀격(貴格)으로 친다. 고인은 실실 웃거나 화를 잘 내지 않았다고 한다. 포커 페이스의 일종에 속한다고나 할까. 

하지만 그렇더라도,너무 심각한 것은 싫다. 밝은 웃음과 유머,다른 사람에 대한 따뜻한 배려가 나는 좋다.
 
나는 잘 죽고 싶다. 갱년(更年)의 삶, 제 2의 인생에선 닭눈의 DNA를 내 몸뚱아리에서 완전히 도려내 던져버리고 싶다. 그래야 웰다잉(Well-dying)할 수 있을 것으로 굳게 믿는다. 닭눈(鷄目)의 탈을 벗으려면 많은 수행과 수련이 필요하다. 

노자,장자를 읽을 나이에 삼국지나 좋아하고 있어선 안된다. 몸이 깃털처럼 가벼워지고 편안해 지는 경지인 경안(輕安)을 거듭하다 보면 닭눈의 탈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오늘 밤 문득, 여유롭고 관대하고 남의 허물을 덮어주는 덕인(德人)이 사무치게 그립다. 

그리하야 언젠가 이승을 하직하기 전에, 덕인으로 거듭나고 싶다는 생각으로 온 몸이 뜨거워 지는 걸 느낀다. 오! 나의 이 경박(輕薄), 이 부박(浮薄)을 어찌 할 것인가. 관세음보살 나무아미타불! 


반응형
Posted by A&Z
종명 수필/단상 회상2010. 7. 14. 23:16
반응형

우연한 기회에 고(故) 한용철 박사를 기리는 홈페이지(http://www.drhanmemorial.pe.kr/)에 접속하게 되었다. 고인은 서울대병원장과 삼성서울병원 초대원장 등을 지낸 분이다. 호흡기내과의 큰 어른이며,특히 결핵분야의 태두이셨다. 그 분이 생전에 좌우명으로 삼았던 게 무재칠시(無財七施)다. 고인의 명복을 빌면서 보석 같은 좌우명을 되돌아 본다. 

무 재 칠 시
[無財七施]- 잡보장경[雜寶藏經]



어떤 사람이 하는 일마다 풀리지 않아 부처님을 찾아가 호소했습니다.
 
"부처님 저는 하는 일마다 제대로 되는 일이 없으니 이 무슨 까닭입니까?"
 
"그것은 네가 남에게 베풀지 않았기 때문이니라."
 
"저는 아무것도 가진 게 없는 빈털털이입니다.
 남에게 줄 것이 있어야 주지 도대체 무얼 준단 말씀입니까?"
 
"그렇지 않느니라, 아무 재물財物이 없더라도 베풀[施]수 있는
 일곱 가지는 있는 것이다.[無財七施]


1.
화안시(和顔施)
 
   얼굴에 밝은 미소를 띠고 부드럽고 정답게 대하는 것이다.
 
   얼굴에 환하고 기쁨 가득찬 미소를 머금은 표정은

   그 자체로도 주위의 많은 사람들에게 편안함을 주는

   소중한 보시(布施)가 되는 것이니라.

 
 
2. 언사시(言辭施)
 
  공손하고 아름다운 말로 대하는 것을 말하니
  사랑의 말,칭찬의 말, 격려의 말,양보의 말,부드러운 말 등이다
 

  우리가 몸으로 짓는 열가지 업중에 [身口意]

  입으로 짓는 업[口業]이 네 가지나 된다는 점을 보더라도

  말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을 것이니라. [妄語 綺語 兩舌 惡口]

 
 
3. 심시(心施)
 

   착하고 어진 마음을 가지고 사람을 대하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의 자비심으로 이웃들에게 베푸는 보시행으로

   우리가 늘 따뜻하고 자비로운 마음으로 사람을 대하는 것도

   소중한 보시(布施)니라.

4. 안시(眼施)

 

   호의를 담아 부드럽고 편안한 눈빛으로 대하는 것을 말한다.

 

   부드럽고 안온한 눈빛 하나로도 충분한 보시(布施)가 되느니라.

 

 
 
5. 신시(身施)
 
   몸으로 베푸는 것으로, 남의 짐을 들어 준다거나 예의 바르고
   친절하게 남의 일을 돕는 것이다.
 

   사람을 만나면 공손하고 반갑게 인사하고 어른을 만나면

   머리 숙여 인사 할 줄 알고공손하고 예의 바른 몸가짐은

  사람들에게 훈훈한 마음을 안겨 주는 보시행(布施行)이니라.


   *다섯 번째는 '지시(指施)'(지시나 가르침을 고운 말로 하라)도 가능.
 

6. 상좌시(床座施)

 

   다른 사람에게 자리를 내주어 양보하는 것이고,

   다른 사람에게 자리를 비워주는 것을 말한다.

 

   지치고 힘든 이에게 편안한 자리를 내어주는 것도

   소중한 보시행(布施行)인 것을 잊지 말아야 하느니라.

 

  

7. 방사시(房舍施)
 
 사람으로 하여금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 주라는 것이다.
 
 굳이 묻지 않고 상대의 속을 헤아려서 도와주는 것이다. (찰시,察施 )
 

 

   "네가 이 일곱 가지를 행하여 습관이 붙으면 너에게 행운이 따르리라"


<자료 출처>(바로가기)

http://blog.naver.com/mcrane/110019800790


반응형
Posted by A&Z
종명 수필/단상 회상2010. 7. 14. 23:14
반응형
진실로,진실로 이르노니 혓바닥을 조심하라. 사불급설(駟不及舌).

"네 마리의 말이 끄는 수레가 혀에 미치지 못한다"는 게 직역이다. 네 마리가 끄는 수레가, 혓바닥이 놀리는 말보다 빠르지 않다는 얘기다. 

다시 말해,혓바닥이 쏟아놓는 말(言)이 퍼지는 속도가 말(馬) 네 마리가 끄는 수레보다 빠르니,말을 조심하라는 얘기다. 백 번, 천 번 맞는 말이다.

그 놈의 혓바닥이 놀리는 허무한 말은, 파장이 길고 그 말을 전하는 작자의 인격에 따라 현기증을 일으킬 만하다. 

특히 술자리에서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이런 저런 말을 쏟아냈다가는 뒷감당이 힘든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참으로 중요한 게 말이지만,참으로 힘든 게 말이기도 하다.

듣고,겪고,느끼면서 춤추는 혓바닥이 얼마나 위험한 지 아는 분들이 적지 않으리라. 그런데도 자꾸 술이 우리 자신을 마셔버리는 경우가 적지않다.한심하다. 

오늘의 다짐.  사불급설(駟不及舌)!!!  

서양에선 이렇게 다짐한다고 한다.
"Put chains on your tongue,or it will put chains on you."
(네 혀를 쇠사슬로 채워라. 그렇지 않으면 네 혀가 너를 속박할 것이다.)


반응형
Posted by A&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