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모저모 > 이슈&리뷰&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체주권 지키기 위해 직장 때려치운다" (0) | 2022.01.28 |
---|---|
한동훈 검사, 법정서 유시민 비판 (0) | 2022.01.27 |
승자독식 대통령제에 대수술 필요하다 (0) | 2022.01.16 |
되돌아본 '와콤 뱀부와의 짜릿한 만남' (0) | 2022.01.14 |
대선의 데자뷰 (0) | 2022.01.14 |
"신체주권 지키기 위해 직장 때려치운다" (0) | 2022.01.28 |
---|---|
한동훈 검사, 법정서 유시민 비판 (0) | 2022.01.27 |
승자독식 대통령제에 대수술 필요하다 (0) | 2022.01.16 |
되돌아본 '와콤 뱀부와의 짜릿한 만남' (0) | 2022.01.14 |
대선의 데자뷰 (0) | 2022.01.14 |
대학 시절, 마케팅 과목이 유난히 흥미로웠다. 그건 담당 교수님과 풍성한 내용을 담고 있는 영어 교재 덕분이었다. 그 책이 아직도 책장에 꽂혀 있다!
Martin L. Bell이 지은 책 'Marketing concept and strategy'(3판, 595쪽)'이다. 책을 펴보니 상당히 두꺼운 이 책 곳곳에 밑줄과 보완 설명 내용이 가득하다. 이 3학년 과목을 참 열심히 했던 기억이 생생하다.
하지만 4학년 진학을 앞두고 진로를 신문기자로 바꾸기로 결정하는 바람에, 그 지식과 관련된 통찰력을 전혀 써먹지 못했다. 아직도 쓰레기통에 채 버리지 못한 전공 서적을 가끔 볼 때마다 아까운 생각이 드는 게 사실이다.
마케팅 과목에 대한 흥미와 열성은 또한, 비교적 수치를 덜 다루는 과목 특성 때문이었던 것 같다. 이와 관련, 대학 경영학과 동기들의 상당수는 "그토록 많이 미적분 등 수학과 통계 같은 것들을 해야 하는지 모르고 경영학과에 진학했다"고 말한다. 또 "경영·경제 수학 등을 하면서 머리에 쥐가 날 지경이었다"고 뒤늦게 애로를 털어 놓는다.
어쨌든, 최근 우연치 않게 마케팅 및 새로운 마케팅 기법에 관심을 쏟다가 재미있는 마케팅 툴을 만났다. 바로 구글 애널리틱스(GA)다. 네이버 검색을 거쳐, 유튜브에서 무려 18강 분량의 GA 강좌 동영상(각 25분 안팎)을 운좋게 만날 수 있었다.
이 마케팅 툴을 이번에 처음 본 것은 아니다. 2011년~2012년 헬스 벤처기업인 (주)코리아메디케어에서 운영사업본부장(이사)으로 일할 때 접해봤던 툴이다.
당시 그 회사의 개발사업본부장이었던 S박사가 활용을 제안하고, 매일 업무회의 시간에 간단한 팩트를 메모해 제공했다. 따라서 다른 사람 덕분에 맛을 보긴 했으나, 그 실체나 자세한 내용에 대해선 전혀 모르고 지냈다고 할 수 있다.
그런 무지한 나에게 아주 친절한 가이드 역할을 톡톡이 한 유튜브의 GA 강좌 동영상은 '구글 애널리틱스를 활용한 데이터분석 기법' 시리즈다. 강의 제공자가 생김새에 걸맞게 매우 후덕하고 친철하게 가르침을 주신다.
그런데 GA에서 제공하는 트래킹 코드(TRACKING CODE)를 심을 수 있는 전문 블로그는 손가락에 꼽을 정도다. 그 가운데 으뜸이 바로 티스토리 블로그(https://tistory.com)다. 종전에는, 이미 가입해 활동 중인 지인에게서 추천을 받아야 티스토리 블로그에 가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지난해 10월 '초대장'제도가 폐지돼, 지금은 누구나 쉽게 가입할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고급 및 전문 블로그로 남아 있다.
GA 강의 동영상 18개를 멈춤-전진-시청-멈춤을 거듭하며 한 차례 시청한 뒤, 다시 중급 과정을 찾아보니 몇 개가 보인다. 특히 그로스 해킹(growth hacking)이라는 관련어가 눈에 번쩍 띈다.
GA(구글 애널리틱스)가 제공하는 트래킹 코드를 막 받아 이 티스토리 블로그(오마이포털, http://www.ohmyportal.net 또는 https://bellring.tistory.com)에 심은 뒤, 다시 GA를 열공하러 간다. 물론 멀티테스킹 이야기다.
GA와 디자이너 활용 사례 (0) | 2019.03.20 |
---|---|
새로운 마케팅 분석 툴_구글 애널리틱스(GA) (0) | 2019.03.02 |
입에 풀칠을 하기위해 메디치 집안에 빌붙어 쓴 측면이 있는 그의 저서 '군주론'에 대한 세간의 관심이 최근 부쩍 높아진 것 같다.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은 8일 한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4대 개혁 입법이라는 모자를 쓴 게 잘못이라는 반성조의 소회를 밝혔다. 그러면서 마키아벨리를 거론했다. 그는 "우리가 세운 방향과 목표를 집행하는 과정에서 '관료의 바다'에 빠졌던 것 같다. 그 때 능숙한 항해술이 필요했는데 그렇지 못했다.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에 나오는 '사자(열정)와 여우(교묘함)의 지혜'가 필요했는데…."라고 말했다. 개혁에 대한 열정은 넘쳤으나,지혜가 부족했다는 투로 받아들여진다.
혓바닥을 조심하라(사불급설,駟不及舌) (0) | 2010.07.14 |
---|---|
곱게 늙고,빨리 죽기 (0) | 2010.07.14 |
바보되기가 어렵다(난더후투)_중국인들의 바보론 (0) | 2010.07.14 |
유대인의 식사법 '카샤룻'은... (0) | 2010.07.14 |
노후의 최대 적은 자식?_장수와 조기퇴직 (0) | 2010.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