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1056건

  1. 2012.04.20 [보건산업진흥원uHIPS]미국 ‘진료성과 보고’ 내년부터 의무화
  2. 2012.04.20 [보건산업진흥원uHIPS]미국 환자 모니터링 시장, 2018년엔 42억 달러
  3. 2012.04.20 [보건산업진흥원uHIPS]모바일 분야의 치명적 오해 7가지
  4. 2012.04.20 [보건산업진흥원uHIPS]미국 뉴욕주, 전자건강정보 프라이버시 강화
  5. 2012.04.20 [보건산업진흥원uHIPS]미국 헬스케어IT 시장, 연평균 22.5% 성장
  6. 2012.04.20 [보건산업진흥원uHIPS]의료기관, 소셜 미디어 활용전략 세워야
  7. 2012.02.26 고령화사회에 대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
  8. 2012.02.16 앱 개발에 필요한 음원 곡당 13만 원에 살 수 있다
  9. 2012.02.16 매직랩 GLAD
  10. 2012.01.02 한미약품 등 리베이트 제공 제약사
  11. 2011.12.29 송년회 음주 정보
  12. 2011.12.28 성형수술 부작용 피해상담 ..서초동.신사동의 그랜드성형외과,대치동 명품성형외과가 많다
  13. 2011.12.28 병의원 장비 현황
  14. 2011.12.24 연말,임신공포와의 전쟁 시작!
  15. 2011.12.24 임플란트 전문의에 속지말자
  16. 2011.12.24 가짜성기 노출에 벌금형, 타당한가
  17. 2011.12.24 비아그라가 판치는 사회
  18. 2011.12.24 6개월에 성형수술 20회,그녀의 선택은?
  19. 2011.12.04 어린이들이 사과주스 많이 마시면 안될 진짜 이유
  20. 2011.12.04 미국 대통령가족은 뭘 먹을까
  21. 2011.12.03 장수에의 꿈,어디까지 바람직한가
  22. 2011.12.03 "병원 다 죽는다. 수가 올려야"
  23. 2011.12.03 코메디닷컴 '캐릭터,아이콘 공모전' 수상자 3명 인터뷰
  24. 2011.11.29 진세훈박사, 새 주름치료술 개발, 국제학회 인정 받아
  25. 2011.11.27 약 이름
  26. 2011.11.20 윤순봉_ 삼성서울병원 지원총괄 사장 겸 삼성의료원 의료사업일류화 추진단장
  27. 2011.10.24 죽음의 칵테일=담배+술, 그런데 술 하루3잔이 폐암 위험 높인다고?
  28. 2011.10.24 남자들의 유머가 왜 여자들에게 잘 먹히지 않을까?
  29. 2011.10.23 대한민국 건강의료포털, 헬스 2.0포털 코메디닷컴
  30. 2011.10.11 5개월 베타 운영한 '러빙J 닷컴' 접을 날 머지 않았다.
반응형

메디케어 진료 의사들, 수가 삭감 압박

내년부터 미국에서 ‘진료성과 보고 프로그램 (PQRS, Physician Quality Reporting System)’이 전면 시행된다고 ‘미국의료뉴스(American Medical News)지가 최근 보도했다. 다음은 그 요약.

이 프로그램의 대상은 연방 건강보험인 메디케어(Medicare)와 진료계약을 맺은 의사들이다. 진료의 품질 및 효율성과 관련된 자료를 메디케어에 상세히 보고해야 한다. 보고를 하지 않거나 보고자료의 함량이 기준에 미달하는 의사들은 2015년부터 수가를 삭감 당하게 된다. 삭감액은 2015년 1.5%, 2016년부터 2%다.

정책을 시행하는 기관은 ‘메디케어 및 메디케이드 서비스센터(CMS, Centers for Medicare & Medicaid Services: 이하 센터), 우리나라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비슷한 일을 하는 미국 보건부 산하기관이다.

2007년 이 프로그램을 출범해 자발적 참여를 유도해왔으나 내년부터는 강제화된다. 2009년의 경우 진료성과 자료를 제출한 의사는 5명 중 한명 꼴에 지나지 않았다. 이중 절반이 약간 넘는 숫자만이 보너스를 받을 만큼의 상세한 자료를 제출했다고 센터는 최근 보고서에서 밝혔다.

메디케어는 ‘‘진료성과 보고 프로그램’외에도 ‘성과 기반 수가지급 프로그램(Value-based Purchasing Program)도 시행한다. 이는 전자 처방 및 전자의무기록(EMR)의 실행 실적 등을 기반으로 하는 수가 조정 제도다. 이 또한 2013년 시작되며 그에 따른 보너스 지급 및 수가 삭감을 2015년에 시작한다. 보고 프로그램은 보고에 따른 성과급을 지급하는 반면 구매 프로그램은 실적 평가에 따라 지급액을 달리한다. 센터는 보고 프로그램의 자료와 청구서의 비용 정보를 기반으로 수가를 추가 조정하는 권한을 의회에서 부여 받았다. 센터는 보고 및 평가 기준을 2013년 11월에 확정할 계획이다.

[관련 기사]

EMR 도입 병원들, “진료의 질과 안전성 개선”

전자건강기록 시스템 도입의 5가지 장점

“유헬스는 소비자 쪽에 중점 두어야 성공”

“개인건강기록부 시장, 매년 5.8% 성장”

미국도 노인 의료 공보험 재정 2018년에 바닥

조현욱 기자 (poemloveyou@kormedi.com)

유헬스(U-Health) 지식포털 유힙스( http://www.uhips.or.kr)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원격의료 시장은 2배 이상 성장”,연구보고서 


지난 해 미국의 환자 모니터링 시장 규모는 31억 달러였지만 2018년엔 42억 달러가 될 것이라는 보고서가 최근 발표됐다. 이 같은 성장은 이동 중인 환자를 원격측정하는 무선 모니터, 저감도 심박호흡 모니터, 만성질환자 및 심장 임플란트 환자에 대한 원격 모니터 등의 시스템이 급속히 채택되는 데 따라 이뤄질 것이라고 ‘아이데이터리서치( iData Research)’의 연구자들은 밝혔다.

아이데이터사의 캘란 재머니언 대표는 “미국퇴역군인국이 시스템을 대량 구매한데다 원격 모니터링의 장점에 대한 인식이 확산된 덕분에 특히 만성 질병에 대한 원격의료 분야가 성장했다”면서 “2018년 미국 원격의료시장은 현재의 2배 이상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동 중인 환자를 원격측정하는 무선 모니터링 시장은 지난해 급성장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원격 모니터링이 일반 병동으로 확산됨에 따라 환자 착용형 모니터 장비의 판매는 향후 6년간 극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모니터 제품이 시장에 진입 중이어서 맥박산소 측정 및 혈압 모니터 분야의 시장을 키울 것으로 보인다. 

저매니언 대포는 “미국 내에서 이 같은 스마트폰 연동형 제품이 이미 다수 발표됐다”고 설명했다. “이런 모니터는 측정이 간편하고 이용이 쉬우며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친숙한 플랫폼이면서 혈압을 측정하는 새롭고 재미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널리 쓰이게 될 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이 같은 내용은 미국 헬스케어아이티뉴스가 28일 보도했다.

[관련 기사]

미국 병원들, 전자건강정보 공유사업 박차

“유헬스, 개인건강기록부 시스템이 선결조건”

“올해 건강 어플 2억개, 2년 뒤 3배”

전자건강기록 시스템 도입의 5가지 장점

“유헬스는 소비자 쪽에 중점 두어야 성공”

조현욱 기자 (poemloveyou@kormedi.com)


유헬스(U-Health) 지식포털 유힙스( http://www.uhips.or.kr)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조언:“콘텐츠가 핵심, 멀티스크린 대비해야”



모바일 헬스 분야에서 많은 이가 공감할만한 조언이 나왔다. 이번 주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건강관리 사례 설계 2012(Healthcare Experience Design 2012)’에서 발표된 ‘모바일 분야의 치명적 오해(Myth) 7가지’다. 연사는 설계 컨설팅 회사 ‘글로벌 목사이(Global Moxie)’의 창립자이자 이 분야 저명인사인 조쉬 클라크 회장이다. 27일 ‘모바이 헬스뉴스(mobihealthnews)’가 소개했다. 다음은 그 요약.

오해 1. 모바일 이용자는 항상 바쁘고 주의가 산만하다

모바일폰과 스마트폰이 뭔가를 끊임없이 찾아보는 도구로서 훌륭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 사용자들이 항상 주의가 산만하고 서두르는 것은 아니다. 소파에 여유있게 앉아있거나 공항에서 갈아탈 여객기를 몇 시간씩 기다릴 때도 이용할 수 있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약 40%의 사람들이 화장실에서 전화기를 사용한다. 사용자들이 항상 초조한 상태이며 이들 기기를 짧은 기간씩만 사용한다고 가정하는 것은 실수다. 그런 실수는 잘못된 아이디어를 양산하는 결과로 이어지기 쉽다.

오해 2. 모바일은 간략해야 한다

모바일이 “가볍다”는 뜻이 되어서는 안된다. 모바일의 콘텐츠와 양상은 다른 플랫폼에 못지 않아야 하며 어떤 경우는 더욱 많은 것을 제공하거나 포함해야 한다. 특히 모바일 헬스 분야는 제3자가 관련되는 스마트폰 주변기기들이 잇따라 출현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디자이너들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해야 한다: 이들 기기로 더 많은 일을 하는 방법이 뭐가 있을까?

오해 3. 복잡성은 나쁜 것이다

복잡성은 매우 좋은 것이다. 앱을 풍부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데이터가 복잡해야 우리가 기대하는 유용성을 충족할 수 있는 그런 헬스 서비스 분야가 많다.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게 만들려고 지나치게 단순화해서는 안된다. 다만 복잡하더라도 혼란스럽게 만들어서는 안된다. 복잡하지만 이해할 수 있는 앱이어야 한다. 

오해 4. 탭과 클릭이 추가되면 나쁘다

탭(앱의 상단에 있는 아이콘 형태의 세부 메뉴)과 클릭과 메뉴가 너무 많으면 쓸만한 앱이 될 수 없다는 믿음이 널리 퍼져있지만 이는 잘못된 것이다. 오늘날 통신 네트워크가 잘 발달돼있는 덕분에 정보를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져 있다. 각각의 탭이 추가 정보나 추가적인 미소를 지을 수 있게 해준다면 탭을 추가하는 것은 문제가 아니다. 탭은 양보다 질의 문제다. 

오해 5. 모바일 웹사이트가 있어야 한다

어떤 플랫폼에서나 멋지게 보이도록 설계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 데스크탑, 모바일 폰, 태블릿을 비롯해 심지어 음성, TV, 혹은 앞으로 출현할 지 모를 어떤 기기에서나 말이다.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에 다가가려면 그 사람들의 장비에 적응할 수 있는 사이트와 앱을 개발해야 한다. 당신의 사이트가 모바일 사용자들에게 “mobile.mysite.com”같은 곳에 들어가게 만든다면 이는 실수일 가능성이 크다. URL 에서 U라는 단어는 보편성(universal)을 의미한다. 사이트는 하나면 족하다. 

오해 6. 모바일이란 앱에 관한 것이다

업계는 지금 각기 다른 플랫폼과 장치에 맞는 앱을 개발하느라 패닉 상태다. 하지만 앱은 전략이 될 수 없다. 당신의 제품은 앱이 아니라 콘텐츠가 되어야 한다. 이 콘텐츠가 어느 플랫폼에서나 작동하게 해야 한다.

오해 7. CMS 와 API는 데이터만 아는 괴짜를 위한 것이다

콘텐츠관리시스템(CMS:content management systems)과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는 데이터 전문 괴짜들을 위한 것만이 아니게 되었다. 메타데이터(데이터를 정리하고 설명해주는 데이터)가 새로운 지향점이 되어야 한다. 개발자들은 데이터를 제어해야 한다는 생각을 일부 버릴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구조화된 콘텐츠를 설계함으로써 미래의 멀티스크린 시대에 대비해야 한다. 

[관련 기사]

미국 환자 모니터링 시장, 2018년엔 42억 달러

미국 병원들, 전자건강정보 공유사업 박차

“유헬스, 개인건강기록부 시스템이 선결조건”

“올해 건강 어플 2억개, 2년 뒤 3배”

전자건강기록 시스템 도입의 5가지 장점

조현욱 기자 (poemloveyou@kormedi.com)


유헬스(U-Health) 지식포털 유힙스( http://www.uhips.or.kr)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정보 공유는 확대, 절차와 정책은 엄격하게



발 전문가에게 간단한 진찰을 받는 일에도 환자의 평생 의료기록이 공개되어야 할까? 전자의무기록의 공유 문제는 프라이버시와 관련한 다양한 질문을 제기하게 만든다. 미국 뉴욕주가 환자 프라이버시와 건강정보 공유 문제를 다룰 주 차원의 위원회를 구성해 활동에 나선 것은 이 때문이다.

뉴욕시민자유연맹의 비판을 받은 뉴욕주는 환자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기 시작했다. 지난달 29일 뉴욕주 전자건강협력체(New York eHealth Collaborative)는 주 보건부과 함께 뉴욕건강정보네트워크(SHIN-NY: Statewide Health Information Network of New York )정책위원회를 설립했다.

위원회의 주된 임무는 두가지다. 첫째, 개인건강정보를 보호할 주 정책을 수립하고 업데이트하는 것이다. 둘째, 전자건강정보를 의료서비스 제공업체들 사이에서, 그리고 소비자와 여타 건강 관련 커뮤니티 조직과 널리 공유하도록 하는 여건을 주 차원에서 확대 조성하는 것이다. 뉴욕시민자유연맹의 입법 관련 부책임자인 코린 캐리는 이 위원회의 위원이 됐다. 나머지 16명의 위원은 공무원, 의료기관, 변호사 등이다.

그녀는 현행 건강정보 관련 정책과 절차가 주 법을 위반하고 있지 않은지를 철저히 검토할 것을 위원회로 하여금 주에 요구하게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뉴욕주 공중보건법은 의료정보가 제3자에게 제공되려면 당사자의 명시적 동의가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뉴욕시민자유연맹은 최근 뉴욕주의 프라이버시 정책과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의무기록을 공유하는 절차를 비판하는 보고서를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지금 뉴욕시의 정책과 절차는 환자의 동의가 없어도 의료기관이 해당 의무기록에 접근할 수 있게 되어있다. 이 같은 내용은 ‘인포메이션위크헬스케어(InformationWeek Healthcare)’가 5일 보도했다.

[관련 기사]

미국 병원들, 전자건강정보 공유사업 박차

밤늦게 먹으면 안되는 ‘나쁜 야식’ 5가지

커피를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소식

건강이력서 ‘PHR’ 이용자 만족도 급상승

전자건강기록 시스템 도입의 5가지 장점

조현욱 기자 (poemloveyou@kormedi.com)


유헬스(U-Health) 지식포털 유힙스( http://www.uhips.or.kr)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2012~2014년 전망치, 시장분석 보고서

2012~2014년 미국의 헬스케어IT 시장은 연평균 22.5% 성장할 것이라는 분석 보고서가 나왔다. 산업정보 서비스 회사인 RNCOS사가 최근 발표한 ‘미국 헬스케어IT 시장전망 2014’ 의 내용이다. 보고서는 의료 지출을 줄이려는 미국 정부가 이 분야의 발전을 주도하고 있는데다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등 생활습관병 환자가 늘고 있는 것이 이 같은 추세를 만들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이 분야 시장은 최근 몇 년간 급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이 같은 사실은 신제품 출시 비율이 높은데다 업계 표준 자체가 진화하고 있다는 데서 뚜렷하게 드러난다”고 밝혔다.

보고서의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미국 정부가 헬스케어 분야의 지출을 줄이려는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e헬스 시장은 큰 추진력을 받고 있다. 이 시장은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분야의 하나다. 

▷모바일 헬스 시장은 모바일 서비스 운영자들을 대상으로 한 사업 기회가 많다. 이는 특히 의사들의 스마트 폰 사용률이 늘고 있는 덕분이다. 

▷원격 환자 모니터링 솔루션들이 환자 관리의 공조를 돕고 관련 비용을 낮춰주고 있다. 이 분야 시장 규모는 지난해 이래 11.3% 성장해 현재 79억 달러에 이른다. 

▷미국은 의료영상정보시스템(MIIS)의 세계 최대 시장이다. 첨단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심장병 정보시스템을 채택하는 의료기관이 늘고 있는 덕분이다.

이 같은 내용은 산업정보 자료제공 사이트인 SBWIRE가 지난 11일 보도했다.

[관련 기사]

☞ 입 속 침으로 알 수 있는 중요 정보 5가지

☞ 사랑의 유효기간? 몸무게처럼 잴 수 있다

☞ 미국 뉴욕주, 전자건강정보 프라이버시 강화

☞ 미국 병원들, 전자건강정보 공유사업 박차

☞ 전자건강기록 시스템 도입의 5가지 장점

조현욱 기자 (poemloveyou@kormedi.com)


유헬스(U-Health) 지식포털 유힙스( http://www.uhips.or.kr)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미국 기관들이 다른 나라에 뒤지는 분야

미국 의료기관과 제약회사들은 소셜 미디어 활용에서 다른 나라들에 뒤쳐져 있어 전략 수립이 시급하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미국에서는 소셜 미디어를 마케팅에 주로 활용하고 있지만 진료 관리와 환자 교육에 이를 주로 활용하는 것이 세계적 추세라는 것이다.

최근 정보기술 및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회사인 CSC가 발표한 백서 ‘건강관리 기관들은 소셜 미디어를 사용해야만 할까?(Should Healthcare Organizations Use Social Media?)’의 내용이다.

백서는 건강 관리 분야의 소셜 미디어 활용도를 조사한 뒤 건강관리 기관들이 좀더 공식적인 소셜 미디어 전략을 채택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백서는 소셜 미디어로 블로그, 페이스 북,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 트위터, 위키피디아, 유튜브 등을 꼽았다. 

CSC사 ‘헬스케어 신규 관행 글로벌 연구소( Global Institute for Emerging Healthcare Practices)’의 연구분석관 캐이틀린 로린츠는 “현재 소셜 미디어 활용은 마케팅에 집중돼 있지만 이 밖에도 활용할 수 있는 분야는 다양하다”면서 “환자 모니터, 환자 관리활동 지원 등이 대표적인 예”라고 말했다.





로린츠는 ‘하우아유(How Are You? )’사이트를 예로 들었다. 이 사이트는 환자용 포털이면서 소셜 미디어의 성격을 갖추고 환자를 의료기관 및 의료인들과 연결시켜주는 역할도 한다. 영국 국민건강보험과 케임브리지 헬스케어가 공동 설립해 운영 중이다. 환자들은 이 사이트에서 자신의 상태를 보고하고 의사들에게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로린츠는 “의료인들이 환자들에게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이들을 도울 수 있게 해주는 사이트”라고 말했다.

페이스 북이나 트위터가 일반 교육과 마케팅에 사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의사들은 페이스북을 통해 환자들과 편안하게 연결되는 것을 꺼리고 있다고 로린츠는 말한다. 의사와 환자간의 전통적인 관계를 넘어서거나 ‘건강보험 양도 및 책임에 관한 법’을 어기게 될까 우려한다는 것이다. 의사들이 페이스북에 글을 올릴 때는 그것이 의학적 조언이 아니라는 단서를 붙이면 책임 문제를 피할 수 있다고 로린츠는 조언했다.

백서는 미국의 소셜미디어 활용 성공사례로 아이오와 대학 어린이 병원을 꼽았다. 이 병원은 페이스북 앱을 통해 신장이식을 받은 10대들의 복약 지도를 강화하고 있다. 또한 미네소타 주의 메이요클리닉은 온라인 헬스커뮤티티를 통해 환자들이 질문을 올리고 답변을 들을 수 있는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환자들은 자신의 건강 관련 체험을 공개하고 비디오를 올릴 수도 있다. 이 같은 내용은 헬스케어 정보사이트 이위크(Eweek.com)이 최근 보도했다.

[관련 기사]

주름살을 없애는 손쉬운 방법 8가지

사랑의 유효기간? 몸무게처럼 잴 수 있다

미국 헬스케어IT 시장, 연평균 22.5% 성장

미국 병원들, 전자건강정보 공유사업 박차

전자건강기록 시스템 도입의 5가지 장점

조현욱 기자 (poemloveyou@kormedi.com)




유헬스(U-Health) 지식포털 유힙스( http://www.uhips.or.kr)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필리핀의 수도 마닐라의 수은주는 오늘도 섭씨 30도 안팎을 오르내린다. 이 한겨울에도 푹푹 찌는 그곳엔 국제보건기구(WHO) 서태평양지역 사무처가 있다. 이 조직의 수장인 사무처장은 신영수(68) 박사다. 신 박사는 모교인 서울대 의대에서 오랫동안 교수로 봉직하다 2009년부터 마닐라에서 국제사회를 위해 봉사하고 있다. 미국 하버드대 재학 시절에도 수재로 꼽힌 그가 개발한 포괄수가제 질병분류법(DRG)은 30여 년 전, 미국 정부의 의료수가제도로 채택됐다.

신영수 박사는 그러나 이 제도를 섣불리 한국에 제안하지 않았다. 국내 실정을 감안해 15년 이상 서울대의대 연구실에서 숱한 밤을 지샌 뒤에야 카드로 내밀었다.  신 박사가 한국의료QA학회에 '포괄수가제 도입과 의료의 길'이라는 논문을 낸 것은 1995년이었다. 필자가 1980년대 말과 1990년대 말 사이에 꽤 오랫동안 의료 현장과 보건복지부를 취재하면서 그의 신중함에 고개를 끄덕였던 기억이 새롭다.   


2012년 2월, 우리는 또다른 국제기구인 OECD(경제협력개발기구)가 내놓은 '한국 의료 질 검토 보고서'를 봤다. 이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보건의료 전반을 처음으로 깊이있게 분석해 내놓은 것이다. OECD는 이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에 어떤 메시지를 던지려 했을까. 메시지는 분명하다.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국민의료비에 대한 강력한 경고다. 우리나라 보건의료비의 증가율도, 국민 1인당 진찰횟수도, 입원 환자의 평균 입원 일수도 모두 OECD 국가 평균의 2배가 넘는다. 우리 의료시스템에 빨간불이 켜져 있음을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수치다. 만성질환자가 많이 발생하게 마련인 고령화사회를 코앞에 두고 있는 한국의 의료시스템이 이대로 가다간 자칫 붕괴될 수도 있다는 강력한 경고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이번 OECD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2002~2009년 보건의료비 증가율은 연평균 7.7%로 집계됐다. OECD 국가 평균은 3.6%다. 2009년을 기준으로 우리 국민 한 사람이 1년에 의사를 찾아 진찰받는 횟수는 평균 13건이나 된다. OECD 평균은 6.5건이다.  이 병원, 저 병원 옮겨다니며 진료를 받는 의사쇼핑(doctor shopping)은 결코 남의 일이 아니다. 또한 우리나라 입원 환자의 평균 입원 일수는 16.7일인 데 비해, OECD 평균은 8.8일이다.  

이 보고서의
경고 메시지를 키워드로 요약하면 ▷ 포괄수가제 ▷ 1차 의료체계 ▷만성 및 복합 질환자 급증에 대비하는 의료시스템 등이라 할 수 있겠다. 이 가운데 포괄수가제란 입원환자의 특정 질병에 대해 미리 정해놓은 진료비를 내도록 하는 제도다.   예컨대  맹장수술엔 얼마, 백내장수술엔 얼마 하는 식으로 진료비를 매기는 방식이다. 진찰·검사·수술·주사·투약 등 진료행위마다에 진료비를 따로 매기는 행위수가제에 대비되는 개념이다.  OECD는 한국이 행위수가제에 집착한다면 진료과잉이 우려되고,의료시스템 운영에서 비효율을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포괄수가제는 2013년 종합병원과 대학병원 확대를 목표로 2002년부터 7개 질병군(세부 질병 52개)에 시험 적용됐다. 하지만 이는 제도권에 들어온 게 아니다. 병의원들의 자율에 의존하고 있을 따름이다. 신영수 박사가 한국의 관련학회에 포괄수가제를 내놓은 지도 어언 17년이 지났지만 이 제도는 '여전히 실험 중'이다. 물론 병의원은 공산품을 대량생산하는 공장이 아니다. 따라서 "(잘못된) 포괄수가제는 의료의 품질을 떨어뜨린다"는 그동안의 의료계 반대논리에는 일리가 있고도 남는다. 의사들의 충정도 충분히 이해된다.하지만 그렇더라도 급변하는 사회변동을 따라잡기엔 발걸음이 너무 더딘 것 같다. 의료관리학,임상경제학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행 속도를 높이고 적용 범위도 넓혀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동네 의원과 병원, 보건소의 역할도 미래지향적으로,건강하게 바꿔 나가야 한다. OECD가 지적한 '지역 기반 1차 의료체계' 대목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우리의 1차 의료체계에는 왜곡된 부분이 적지 않다. 이들 의료기관은 지역 주민들의 건강증진과 질병 예방에 순기능을 발휘해야 한다. 평소 건강주치의 역할을 톡톡히 해내야 한다. 그래야 만성 질환자나 복합 질환자들이 손쉽게 드나들며 건강과 질병을 관리할 수 있다. 보다 더 정밀한 검사나 수술 및 처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환자를
 믿을 만한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에 보내주는 진뢰의뢰 기능도 제대로 발휘해야 한다. 이들 1차 의료체계가 건강해 져야 한다. 시설,장비에 지나치게 많은 돈을 투자해 대형병원과 맞서는 형국의 '의료서비스 과열 경쟁'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더 나아가 
'주치의 중심의 u헬스 시스템'을 확립해 지역 기반 1차 의료체계가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개원 의사들은 수익 감소를 이유로 이런 시스템을 달갑게 여기지 않고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주치의는 u헬스 시스템과 더불어 환자 건강관리의 종합 지휘자로 거듭날 수 있다.  의사가 건강관리 지휘자로 재탄생하면 어떻게 될까. 천문학적인 사이비 의료비가 정상적 진료비에 포함돼 오히려 의료산업의 파이가 커지고, 의사들도 정당한 보수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치의는 평소 진료(진단, 치료)의 총지휘자가 된다. 특히 만성병의 경우 무거운 질환자는 대형병원으로 이송하되, 환자의 정보는 공유할 수 있다. 평소 환자의 건강관리는 주치의가 하고, 생활건강은 건강관리 회사를 통해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만성 및 복합 질환자 급증에 대비하는 의료시스템의 구축이야말로 시급하다. 고령화사회의 문턱을 훌쩍 뛰어넘어 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한국의 발등에 떨어진 불이라 할 수 있다.  고령인구가 7%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이상이면 고령사회로 규정한다.  2010년 11.3%였던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18년이면 14.3%에 달한다. 게다가 베이비부머(1955~1964년생)들이 무더기로 고령인구에 속속 편입될 터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의 만성 질환자와 복합 질환자의 숫자는 신기록 행진을 거듭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제, 의료시스템 측면에서도 미래를 본격적으로 준비해야 할 때가 됐다. 고령사회의 큰 그림에서 의료시스템이 차지하는 비중은 결코 작지 않다. 현재의 팍팍한 현실에서 이해 당사자들의 고통도 만만치 않음을 안다. 그 때문에 조정 자체가 결코 쉽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의료시스템 자체의 붕괴를 나몰라라 할 순 없다. 뼈를 깎는 심정으로 공멸을 막아야 한다. 선택의원제든, 약값차등제든,포괄수가제든 '더불어 살아야 할 공동체'의 관점에서 풀어나가야 한다.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당선되자마자 서브프라임 모기지 경제위기에 대처해야 했다. 그가 추경 예산안을 짜면서 왜 의료시스템 구축에 247억 달러라는 거액을 넣었을까 곰곰 생각해 보자. 의료비와 노령인구의 급증에 대응하는 제도의 개선이 제자리 걸음이나 거북이 걸음이어선 안된다.


 
 

반응형
Posted by A&Z
카테고리 없음2012. 2. 16. 17:10
반응형





앱 개발에 필요한  BGM 음원을 곡당 평균 13만 원에 살 수 있다. 전세계 최초로 앱 개발만을 위한 ‘30초 루프 음원 서비스’를 정식 오픈한 수파사운드( www.SupaSounds.net )에서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MP3 포맷은 TAG로 인해 루핑이 완벽하지 못하나, 수파사운드는 MP3 TAG 제거 기술로 루핑을 할 수 있는  MP3를 지원한다. 

음악 전문성이 없는 개발자라도 게임에 맞는 음악을 쉽게 고를 수 있다.  앱 게임 하나에 2~3곡의 BGM이 필요하므로 총비용은 25~38만 원 정도. 이는 기존의 음원 제작 방식의 5분의1 수준의 값이다.  
별도 가입절차 없이 프로젝트에 대한 간단한 정보만 입력하면 기입한 이메일로 ZIP 파일 형태의 음원을 자동으로 받아볼 수 있다. 현재는 ios 플랫폼에서만 이 음원을 쓸 수 있다.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신기한 랩. 식생활이 참 편해 졌다.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한미약품(대표 민경윤)은 2004년 한국에서 가장 신뢰받는 제약기업으로 선정된 바 있다. 한국경영인협회에서 수여하는 2004년 대한민국 '가장 신뢰받는 기업상'을 수상한 한미약품은 기업의 윤리성, 노사관계 최고경영자의 리더십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런가 하면 한미약품 민경윤 대표는 2004년 12월 한국CEO학회로부터 전문경영인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의약품 매출을 늘리기 위해 의료인에게 불법 리베이트를 제공한 제약사 7곳의 131개 약품에 대한 가격 인하조치가 결정됐다. 약품가격은 리베이트 금액과 해당 의약품이 처방된 총액의 비율에 따라 0.65%~20% 내리게 될 예정이다. (2011년 7월 21일)

보건복지부는 21일 열린 약제급여평가위원회에서 이 같이 결정됐다고 밝혔다. 이 안은 내달 열리는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내달 말 약가고시 후 10월1일부터 적용된다. 이번 조치는 2009년 8월 리베이트 연동 약가 인하제도가 도입된 이후 첫 적용사례다.

동아제약 등 6곳은 공중보건의사에게 뇌물을, 종근당은 의료인에게 금전을 제공한 사실이 각각 밝혀져 이 같은 제재를 받게 됐다.

최고비율인 20% 인하가 결정된 것은  동아제약 위장약 스티렌정 , 영풍제약 고지혈증치료제 심바스정, 구주제약 항진균제 유나졸캡슐, 종근당의 고혈압약 '딜라트렌 6.25㎎ 등 4개 제약사의 43개 품목이다.

이들 제약사의 리베이트금액과 이 리베이트와 관련된 의약품 처방총액 비율에 따라 적게는 0.65%부터 최대 20%까지 인하된다.



“설문조사 사례비” 850여명에게… 오츠카 “불법 아니다”

정부합동 의약품 리베이트 전담수사반(반장 김우현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장)은 설문지 조사의 응답 사례비 명목으로 의사들에게 13억 원의 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로 한국오츠카제약의 이 모 전무를 불구속 기소했다고 밝혔다.(2011년 10월 24일)

수사반은 또 오츠카제약의 의뢰를 받아 설문조사를 한 시장조사업체 M사 최모 대표도 추가 기소했다. 최 대표는 이미 다른 리베이트 건으로 지난 11일 1심에서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1년을 선고 받은 상태다.

수사반에 따르면 이씨는 지난 해 3~4월 전국 의사 850여명에게 자사 의약품에 대한 설문조사를 벌이면서 설문지 1건에 5만원씩 주는 방식으로 13억 원의 리베이트를 지급한 혐의를 받고 있다. 모 의사는 100여 건의 설문조사를 해주고 500만원을 챙긴 것으로 알려졌다.

M사는 의사의 처방액 규모에 맞춰 리베이트 금액이 지급될 수 있도록 명단과 설문 건수를 지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검찰은 이번 사건이 리베이트 쌍벌제가 시행되기 이전에 발생한 것이어서 관련 의사들을 기소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오츠카제약은 “공정경쟁규약 범위 내에서 시행한 역학조사로 검찰이 밝힌 것과 사실관계가 다르다”고 말했다.


 3년간 814억 사용…법인세 취소訴

국세청이 제약업계의 리베이트에 세금을 물리자 대기업 계열의 한 중견 제약회사가 의약품 리베이트 비용을 사업비로 인정해 달라는 소송을 제기했다. (2011년 12월 27일)

27일 서울행정법원(원장 조병현)에 따르면 매출액 기준 50위권 제약업체 D사는 지난 20일  “법인세 186억 원을 포함해 부과된 총 세금 348억 원은 그동안 의사와 약사들에게 리베이트로 쓴 비용 814억 원을 업무 비용으로 인정해주지 않은 것”이라며 서울 남대문세무서장을 상대로 법인세 부과처분 취소 소송을 냈다.

D사는 소장에서 영업사원 280명이 △2006년 197억 원 △2007년 313억 원 △2008년 303억 원 등 총 814억 원을 리베이트 명목으로 지출했다고 밝혔다. 이 업체 매출액의 20%를 넘는 수치다. 리베이트 방식으로는 △현금 384억 원 △법인 신용카드로 상품권과 기프트 카드 구입 298억 원 △법인 신용카드로 소비한 식사비 131억 원이 있었다. 또 병원장의 렌터카 비용까지 대신 내줬다고 털어놨다. D사는 이렇게 쓴 리베이트 비용을 재무제표상에는 영업활동비와 접대비 업무추진비 시장개척비 등의 항목으로 계상했지만 세무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법인세를 부과했다.

한편 리베이트 근절을 위한 약가 인하 정책과 제약업체뿐만 아니라 리베이트를 받은 의사와 약사도 처벌하는 쌍벌제 시행으로 리베이트 지출을 중단한 2009년 이후 D사 매출은 급감해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 대비 18%(매출총이익은 17%) 하락했다.

=====================================================================================================
 - 「제약산업 선진화」 세부 추진방안 논의 -

□ 보건복지부(장관 진수희)는 9월2일 오후 2시 최원영 차관 주재로 ‘제4차 제약산업발전협의회’를 개최하여, 지난 8월12일 발표한「약가제도개편 및 제약산업 선진화」방안의 세부 추진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이 날 회의에서 최원영 차관은 “「약가제도 개편 및 제약산업 선진화」방안이 중장기적으로는 국내 제약산업을 연구중심의 선진적 구조로 정착시키기 위한 것이긴 하나,

 ○ 단기적으로는 제약업계에 연간 2조1천억원의 손실 발생이 예상되어, 연구개발 투자를 위축시킬 우려가 있는 만큼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방안 마련이 필요하여 회의를 개최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 이번 회의에서는 내년 3월31일 시행될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한 구체적 시행방안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졌는데,   

 ○ 약가우대 방안으로 기존에 발표한 혁신형 제약기업의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약가우대책 외에 신약 및 개량신약의 약가 우대 방안

 ○ 혁신형 제약기업 도입 이후 세제지원 방안

 ○ 신용보증기금 특례 지원, 제3자 배정 유상증자, CBO(채권담보부증권) 발행 등 우량 제약기업의 한시적 유동성 위기시 대응방안

 ○ 범부처 전주기 신약개발, 시스템 통합적 항암신약개발 등 국책 R&D 사업 대상 선정시 가산점 부여 등 혁신형 제약기업에 대한 우대책

 ○ 약제비 절감에 따른 건강보험 국고지원 예상절감액과 리베이트 위반 과징금 등을 활용한 신약개발 R&D 전용 재원 마련 및 그 규모 등에 대해 논의했다.

□ 이번 회의에는 기재부·지경부·식약청 등 관련 정부부처 담당자와 심평원·건보공단·보건산업진흥원 등 유관기관, 한국제약협회,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대웅제약·동아제약 등 제약산업발전협의회 위원 외에도

 ○ 한미약품·녹십자·유한양행·비씨월드제약 등 제약업계의 CEO와 IBK 투자증권 리서치 센터장 등 민간전문가가 참석하여 심도 있는 논의를 가졌다.

□ 복지부 관계자는 “이번 회의로 관련 부처 및 제약업계의 입장을 좀 더 면밀히 파악할 수 있었다. 회의결과는 관련 부처와의 최종협의를 거쳐 확정될 예정이다.”라 밝히고,

 ○ “추후에도 지속적으로 업계 및 전문가의 의견에 귀를 기울여「약가제도 개편 및 제약산업 선진화」방안이 우리나라 제약산업 발전에 성공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덧붙였다.

□ 설립 근거

 ○ “한미 FTA 후속대책 제약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07.6.29, 보건복지부)”

    *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으로 법적 지원체계 정비 예정

□ 운영 목적

 ○ 범부처적으로 제약산업 경쟁력강화방안을 모색하고 제약업계와의 소통의 장을 마련

□ 조직

  ○ 제약산업발전 협의체

    - 복지부 차관(위원장), 기재부·지경부·복지부·식약청 국장, 심평원·건보공단·보건산업진흥원 이사, 제약업계 CEO

  ○ 제약산업발전 실무협의체

    - 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위원장), 기재부·지경부·복지부·식약청, 심평원·건보공단·보건산업진흥원, 제약업계의 실무급 관계자

□ 주요 논의사안

  ○ ‘10.2.5자 범부처 합동 “제약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추진사항 점검

  ○ 제약업계의 애로사항, 건의사항을 수렴, 제약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한 정책과제 발굴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알코올질환 전문 다사랑중앙병원(원장 전용준)이 제공하는 송년회 음주 관련 정보입니다. 


△ 똑똑한 송년회란 이런 것!

낮에 조금 마신 것도 음주에 해당됩니다~

낮에 간단하게 하는 송년회가 유행하면서 낮에도 반주로 1~2잔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경우 낮에 마신 술까지 하루 음주 총량으로 계산해야 한다. 저녁에 소주 1~2병 마신 것만 따지면 안된다.

그런 상태에서 하루 알코올 함량 60g 이하로 음주량을 지켜야 한다. 세계보건기구 권고에 의하면 위험음주 기준은 남성 일일 60g 이상, 여성은 그 보다 적다.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술병에는 용량이 cc로 나와있다. 우리나라 맥주 작은 병은 350cc, 중간크기는 500cc이고 소주 한 병은 350cc. 또 술병에는 알코올 농도가 %로 쓰여 있다. 이 농도는 술 100cc 속에 들어있는 알코올 함량을 뜻한다. 예를 들면 소주의 알코올 농도가 25%란 말은 소주 100cc 속에 25cc의 알코올이 들어 있다는 뜻알코올의 양을 나타낼 때 항상 중량(g)으로 표시하니 환산하는 법을 알아두면 도움이 된다.

 

마신 알코올 중량 = 마신양(cc로 계산) x 알코올 농도(%) x 0.8 ÷ 100

 

하루 동안 맥주 1병과 소주 2병을 마셨다면 총 90g을 마셨다는 계산이 나온다.

(맥주 = 500cc x 5% x 0.8 ÷ 100 = 20g

소주 = 350cc x 25% x 0.8 ÷ 100 = 70g)

따라서 이는 60g을 넘긴 채로 한 달 이상 장기간 음주를 한 셈이니 상당부분 건강이 나빠졌을 것은 뻔한 사실이다.

 

안 친하면 한 잔, 친하면 두 잔

회사 송년회 자리에서 평소 안 친한 상사가 술을 권했다면 한 잔, 친하면 두 잔 정도 먹으면 된다.

하루 2~3잔을 넘기지 말라는 말이다. 세계보건기구 권고에 의하면 위험음주 기준은 남성 일일 5(60g)이상, 여성 4.5잔 이상이다. 또 동양인은 서양인보다 알코올을 해독하는 능력이 떨어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하루 2~3(일주일에 15)을 넘기지 말아야 한다. (맥주 1병은 3, 소주 1병은 7)

이때 주종과 잔의 숫자는 무관하다. 왜냐하면 도수가 약한 술은 잔이 크고, 도수가 높으면 잔은 작아지기 때문이다.

 

송년회 술자리 가벼운 것 ? 무거운 것 순서

송년회 때 무엇을 먹을까. 안주는 가벼운 것에서 시작해서 무거운 것, 가벼운 것의 순서로 먹는 것이 좋다.(가벼운 것?무거운 것?가벼운 것)

음주 전 부드러운 유동식이나 신선한 야채, 과일 등 식이섬유가 많은 음식으로 배를 채우는 게 바람직하다. 위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음주하면 위벽을 상하게 할 뿐 아니라 알코올 분해 효소가 채 작용하기도 전에 술이 체내로 흡수돼 간에 큰 부담을 준다.

술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때는 고단백질 음식을 먹는 것이 좋다. 육류보다는 생선, , 치즈, 육포, 골뱅이 무침 등 고단백 저지방 식품을 먹어야 한다. 

후식으로는 비타민이 많은 신선한 과일과 야채가 적당하다. 음주자들은 비타민 B,C가 특히 부족하기 때문에 이를 보충해 주는 것이 좋다.

 

숙취해소, 응급조치 요령 알아두셔야 합니다

콩나물, 북어해장국 등 맑은 국과 밥이 위에 부담을 줄이며 해장을 하기에 좋은 음식이다. 이뇨작용을 돕는 우롱차와 녹차도 좋고, 수분 등을 보충해주는 이온음료나 꿀물도 좋다. 커피는 진하지 않게 한 잔 정도는 괜찮다.

음주 후 두통이 있을 경우에는 두통약이나 숙취해소 음료를 복용하기 보다는 물과 따뜻한 차 종류를 마시거나, 해장국을 챙겨먹는 것이 오히려 빠른 방법이다. 물론 증상이 심하고 반복적으로 증상이 있다면 진통제로 치료하기도 한다.

또 밀폐된 곳에서 술을 마실 때는 1시간에 한 번씩 밖에 나가 신선한 공기를 마시는 것이 좋다. 여러 사람들과 대화를 많이 하는 것도 좋다.

음주시 습관적으로 구토를 하는 것은 위가 많이 손상됐음을 뜻한다. 위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속이 메스껍더라도 일부러 구토를 하려고 노력하지 않고 차 종류를 마시면서 속을 가라앉혀야 한다. 

음주시 얼굴이 홍당무가 되는 사람들은 체내에 알코올 분해효소가 비교적 적다. 술자리에서 주사를 자주 부리는 사람이 있다면 그 상황을 일시적으로 모면하기 보다는 해주클리닉에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이는 뇌 손상이 원인이기 때문이다. 블랙아웃(필름 끊김 현상)이나 주사 등 뇌세포와 관련된 증상 예방에 도움이 되는 청간해주환과 같은 보호물질을 복용하는 것도 좋다.

 

△ 몸 망치는 망()년회, 이렇게 하면 된다

일 년 동안 쌓였던 스트레스 망년회 때 모두 풀자며 하는 두주불사(斗酒不辭) 과음, 과식, 폭식, 흡연 등은 그야말로 몸 망치는 망년회의 특징이다.

과음이나 폭음을 하면 알코올 그 자체가 스트레스 반응에 관여하는 조직들(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에 직접 작용, 이곳들의 호르몬 분비를 증가시키므로 스트레스를 더 심하게 받게 된다. 또한 스트레스를 해소한다고 송년회 때마다 술로 뒤범벅이 되면 알코올 남용이나 의존증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망년회 회식 때 많이 찾게 되는 삼겹살 등 고기 안주도 몸 망치는 전형이다. 육류는 단백질은 풍부하지만 고열량 식품으로 1g 7kcal의 열량을 내는데, 술과 함께 먹으면 우리 몸이 알코올을 먼저 처리하느라 지쳐서 결국 고열량의 육류 안주는 고스란히 체지방으로 저장돼 비만으로 이어질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간과 혈액에 중성지방이 쌓여 간질환, 고지혈증 등의 심혈관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음주 중 흡연은 삼가야 한다. 알코올이 몸에 들어가면 이를 해독하기 위해 간에서는 산소의 요구량이 늘어난다. 이런 상태에서 담배를 피우게 되면 산소결핍 현상을 초래한다.

술을 마신 후 매운 짬뽕, 라면, 감자탕, 얼큰한 뼈해장국 등을 먹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 것도 절대 금물이다. 음주로 위벽이 손상된 상태에서 맵고 짠 음식이 들어가면 위장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술 마신 뒤 사우나나 더운 물로 샤워하는 행위는 자칫 탈수증세로 이어질 수 있으니 삼가자. 음주로 수분이 부족한 상태에서 더운 목욕을 하면 탈수증세를 보일 수 있다.

몸 망치는 망년회의 전형은 끝날 줄 모르는 네버엔딩 술자리다. 이럴 때는 대중교통수단이 끊기기 전에 자리를 털고 일어나는 게 상책. 이렇게 하면 다른 사람들이 나를 싫어하지 않을까 걱정할 수 있지만, 만취 상태가 돼 주사를 부리거나 나쁜 모습을 보이는 것이 오히려 사람들을 잃어버리는 지름길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 TV 등에 등장하는 미인을 꿈꾸는 여성들이 많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는 '성형수술 왕국'이라해도 지나침이 없을 정도다. 영상은 이 글과 직접 관계 없음.> 




우리나라는 '성형수술 왕국'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한때는 포경수술 왕국이기도 했습니다.
예쁘고 싶다는 여성들의 심리와 각종 면접에서 외모를 중시하는 풍조 탓에 성형수술을 무작정 매도할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지하철에 더덕더덕 붙은 쓰레기 광고물 가운데 가장 눈쌀을 찌푸리게 하는 것은 서울 강남,서초동 등에 널려 있는 성형외과들의 지나친 광고판입니다. 특히 '비포(before)-애프터(after)' 개념의 광고물은 때론 한숨을 넘어 분노를 자아내기도 합니다. 순진한 보통사람의 눈에는 이게 눈엣가시로 여겨 집니다.

최근 한국소비자원은 툭하면 성형수술대에 오르는 우리 여성들에게 주의보를 내렸습니다. 성형수술과 관련해 한국소비자원에 피해 상담을 부탁한 건수가 지난해보다 무려 39%가 늘었다고 합니다. 성형수술 피해상담 건수가 가장 많은 곳은 서울 서초동에 있는 그랜드성형외과(7건) 와 서울 신사동에 있는 그랜드성형외과(7건)입니다. 소비자불만이 가장 '그랜드'한 셈입니다. 서울 대치동에 있는 명품성형외과도 만만치 않습니다. 피해상담 건수가 6건으로 썩 명예롭지 못한 공동1위를 차지한 서초동 그랜드성형외과와 신사동 그랜드성형외과의 뒤를 바짝 쫒는 형국입니다.

건강의료포털 코메디닷컴(http://www.kormedi.com) 은 한국소비자원의 발표를 인용, 올 1월부터 11월까지 접수된 성형외과 상담사례는 모두 3641건이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건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8.9% 늘어난 것이랍니다. 코메디닷컴은 이 가운데 병원과 환자 간에 합의가 되지 않아 피해구제 신청이 접수된 경우는 78건이었다고 보도했습니다. 다음은 나머지 보도 내용입니다. 

최근 3년간 성형 부작용 사례 220건 중에는 쌍꺼풀 수술의 부작용이 43건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은 코 수술(39건), 안면윤곽 수술(25건), 지방 주입(22건), 유방 수술(9건), 레이저 수술(9건) 순이었다.

성형피해 신고가 가장 많았던 지역은 유명 성형외과가 밀집한 강남권이었다. 피해상담 접수건수는 서울 서초동 그랜드성형외과와 신사동 그랜드성형외과가 각각 7건으로 가장 많았고, 대치동 명품성형외과(6건) 등 모두 12개 병원이 3개 이상의 상담 신청이 들어온 ‘다빈도 병원’으로 분류됐다.

12개 병원의 피해 유형은 ‘계약금 미반환’이 전체의 34.6%로 가장 높았다. 이어 ‘수술 후 비대칭’이 17.3%, ‘흉터’와 ‘신경손상’이 각각 7.7%였다. 피해 고객 중 47%는 수술 동의서를 쓰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공정거래위원회가 23일 발표한 ‘성형수술 소비자분쟁해결 기준’에 따르면 환자는 계약 해지시점별로 위약금을 내야 한다. 수술예정일로부터 3일 이전에는 계약금의 10%, 2일전 50%, 1일전 80%에 해당하는 금액을 환급받지 못한다. 예정일 이후 해지는 계약금을 돌려받지 못한다. 다만 계약 해지의 책임이 병원에 있을 때에는 병원에서 똑 같은 금액을 환자에게 배상해야 한다.

문제는 성형 부작용으로 피해를 입어도 해결책 마련이 쉽지 않다는 데 있다. 법무법인 세승의 최장성 관리팀장은 “성형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해도 소액일 경우 소송 관련 비용과 기간을 고려하면 실질적으로 피해자가 얻는 이득이 많지 않다”며 소비자원을 통한 중재가 더 나은 대응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이 같은 현실을 고려하여 소비자원은 ‘성형수술 주의보’를 발령하고 성형외과학회, 대한미용외과학회 등에 성형수술 전 고객 동의서 작성을 강화하도록 요청했다.  

☞소비자원이 권하는 성형수술 소비자 주의사항

[수술 전]

1. 다양한 정보를 확인해서 의료기관과 수술 의사를 신중히 선택한다.

2. 수술비용을 비교한다.

3. 자신의 병력을 알려준다.

4. 수술 전 사진을 촬영해서 보관한다.

5. 지나친 수술 효과 기대는 자제한다.

[수술 후]

1. 수술 후 유의사항을 잘 지킨다.

2. 부작용 발생 시 즉시 의사를 찾아간다.

3. 부작용 사진과 진료기록부 사본을 보관한다.

4. 담당 의사와 분쟁해결 방안에 대해 충분히 논의한다.

5. 성급한 재수술은 자제한다. 특히 6개월 이내 재수술은 자제한다.


[관련기사]

☞ 성형후유증으로 결근하면 그 돈도 물어줘야

☞ “강남은 대한민국 성형특구”

☞ 성형수술 부작용 얕보았다간 큰일

☞ 성형 부추기는 TV 프로, 보통여성 우울케 한다

☞ 아름다운 겨울 피부에 필요한 음식 9가지



안명휘 기자 (submarine@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http://www.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의료기관종별 특정 의료장비 현황 (의료장비)1)
단위 : 대
의료기관종별 특정의료장비별
2005
2006
2007
2008
2009
CT스캐너 1,557 1,629 1,799 25,343 1,810
자기공명영상기 584 657 777 1,788 924
유방촬영용장치 1,388 1,646 2,030 855 2,434
초음파영상진단기 14,159 14,654 17,060 2,299 17,911
심장초음파영상진단기 1,445 1,542 2,002 17,360 2,239
영상저장및전송시스템 421 532 799 2,103 1,027
상급종합병원 CT스캐너 108 121 152 1,563 169
자기공명영상기 78 83 109 156 126
유방촬영용장치 60 68 88 109 105
초음파영상진단기 614 658 862 96 1,058
심장초음파영상진단기 132 143 212 925 241
영상저장및전송시스템 40 43 55 221 56
종합병원 CT스캐너 299 317 380 3,288 378
자기공명영상기 221 240 276 373 304
유방촬영용장치 246 264 323 300 352
초음파영상진단기 1,159 1,272 1,586 355 1,720
심장초음파영상진단기 264 270 345 1,635 375
영상저장및전송시스템 183 202 245 359 275
병원 CT스캐너 550 576 662 4,319 682
자기공명영상기 176 205 252 679 330
유방촬영용장치 378 422 508 294 607
초음파영상진단기 1,361 1,504 1,886 563 2,186
심장초음파영상진단기 210 238 296 2,058 347
영상저장및전송시스템 167 222 317 336 426
의원 CT스캐너 592 606 598 15,871 573
자기공명영상기 109 129 140 572 164
유방촬영용장치 698 885 1,098 152 1,360
초음파영상진단기 10,848 11,047 12,472 1,274 12,706
심장초음파영상진단기 837 890 1,146 12,500 1,272
영상저장및전송시스템 23 56 142 1,183 231
치과병원 CT스캐너 3 3 3 25 5
자기공명영상기 - - - 5 0
유방촬영용장치 2 2 3 - 2
초음파영상진단기 2 2 3 2 3
심장초음파영상진단기 - - - 4 0
영상저장및전송시스템 8 8 12 - 15
치과의원 CT스캐너 1 1 1 12 0
자기공명영상기 - - - - 0
유방촬영용장치 - - 3 - 0
초음파영상진단기 - - - 1 0
심장초음파영상진단기 - - - - 0
영상저장및전송시스템 - - 15 - 10
조산원 CT스캐너 - - - 5 0
자기공명영상기 - - - - 0
유방촬영용장치 - - - - 0
초음파영상진단기 3 3 6 - 5
심장초음파영상진단기 - - - 5 0
영상저장및전송시스템 - - - - 0
보건의료원 CT스캐너 3 4 3 37 3
자기공명영상기 - - - 3 0
유방촬영용장치 3 3 3 - 4
초음파영상진단기 19 19 26 4 30
심장초음파영상진단기 - - - 29 1
영상저장및전송시스템 - - 1 1 0
보건소 CT스캐너 1 1 - 97 0
자기공명영상기 - - - - 0
유방촬영용장치 1 2 3 - 4
초음파영상진단기 98 98 85 4 82
심장초음파영상진단기 1 1 1 82 1
영상저장및전송시스템 - - 10 1 11
보건지소 CT스캐너 - - - 7 0
자기공명영상기 - - - - 0
유방촬영용장치 - - - - 0
초음파영상진단기 8 7 6 - 5
심장초음파영상진단기 - - - 5 0
영상저장및전송시스템 - 1 1 - 3
보건진료소 CT스캐너 - - - - 0
자기공명영상기 - - - - 0
유방촬영용장치 - - - - 0
초음파영상진단기 - - - - 0
심장초음파영상진단기 - - - - 0
영상저장및전송시스템 - - - - 0
한방병원 CT스캐너 - - - 2 0
자기공명영상기 - - - - 0
유방촬영용장치 - - - - 0
초음파영상진단기 4 4 2 - 1
심장초음파영상진단기 - - - 2 0
영상저장및전송시스템 - - - - 0
한의원 CT스캐너 - - - 117 0
자기공명영상기 - - - - 0
유방촬영용장치 - - 1 - 0
초음파영상진단기 43 40 126 - 115
심장초음파영상진단기 1 - 2 115 2
영상저장및전송시스템 - - 1 2 0

  Source : 국민건강보험공단
  Comment
1) 연도말 기준



 
의료기관종별 의료장비 현황 (의료장비)1)
단위 : 대
의료기관종별 의료장비별
2005
2006
2007
2008
2009
508,392 537,758 621,416 641,400 685,385
검사장비 146,394 152,333 186,487 196,382 208,840
방사선진단·치료장비 62,123 67,463 80,607 84,117 90,883
이학요법장비 215,513 228,888 253,219 255,241 249,197
수술및처치장비 53,627 56,405 61,949 66,032 70,705
한방장비 30,735 32,669 39,154 39,628 65,760
상급종합병원 24,715 25,882 36,056 36,767 41,159
검사장비 11,489 12,118 17,776 18,924 21,608
방사선진단·치료장비 1,993 2,110 2,552 2,432 2,697
이학요법장비 4,363 4,522 5,395 5,095 5,724
수술및처치장비 6,858 7,115 10,248 10,220 11,036
한방장비 12 17 85 96 94
종합병원 50,751 53,113 72,087 75,997 79,426
검사장비 22,101 23,063 32,747 34,859 36,405
방사선진단·치료장비 4,272 4,521 5,754 5,937 6,125
이학요법장비 13,501 14,228 16,682 16,721 17,149
수술및처치장비 10,808 11,218 16,614 18,160 19,402
한방장비 69 83 290 320 345
병원 57,622 66,256 83,880 95,360 103,227
검사장비 19,673 22,118 28,545 32,408 35,420
방사선진단·치료장비 4,962 5,604 7,273 8,227 8,729
이학요법장비 26,774 31,577 39,869 45,005 48,233
수술및처치장비 5,978 6,614 7,467 8,901 9,895
한방장비 235 343 726 819 950
의원 292,227 305,033 314,745 316,353 326,902
검사장비 89,876 91,769 103,647 106,485 111,660
방사선진단·치료장비 22,667 24,137 25,878 26,529 27,815
이학요법장비 148,982 157,475 158,017 155,317 157,888
수술및처치장비 29,678 30,637 24,660 25,519 27,061
한방장비 1,024 1,015 2,543 2,503 2,478
치과병원 939 1,060 1,649 1,799 2,045
검사장비 83 85 157 157 161
방사선진단·치료장비 710 796 1,114 1,213 1,438
이학요법장비 97 110 156 157 166
수술및처치장비 49 69 222 272 280
한방장비 - - - - 0
치과의원 26,280 29,620 39,315 41,350 45,753
검사장비 16 15 184 192 213
방사선진단·치료장비 26,080 28,828 36,005 37,808 42,082
이학요법장비 141 238 596 602 646
수술및처치장비 43 539 2,524 2,744 2,809
한방장비 - - 6 4 3
조산원 11 11 11 10 10
검사장비 9 9 8 7 7
방사선진단·치료장비 - - - - 0
이학요법장비 2 2 3 3 3
수술및처치장비 - - - - 0
한방장비 - - - - 0
보건의료원 911 936 966 964 1,002
검사장비 370 375 394 406 419
방사선진단·치료장비 86 89 101 98 108
이학요법장비 330 346 343 330 338
수술및처치장비 66 67 62 67 73
한방장비 59 59 66 63 64
보건소 5,824 5,898 6,427 6,301 6,326
검사장비 1,725 1,741 1,753 1,706 1,708
방사선진단·치료장비 657 678 826 802 822
이학요법장비 2,985 3,013 3,345 3,286 3,288
수술및처치장비 91 91 77 73 73
한방장비 366 375 426 434 435
보건지소 2,636 2,731 3,263 3,235 3,311
검사장비 451 452 360 362 371
방사선진단·치료장비 687 692 902 891 896
이학요법장비 1,425 1,513 1,834 1,814 1,875
수술및처치장비 20 20 22 23 23
한방장비 53 54 145 145 146
보건진료소 372 369 465 497 497
검사장비 370 367 287 301 301
방사선진단·치료장비 - - - - 0
이학요법장비 2 2 176 194 194
수술및처치장비 - - - - 0
한방장비 - - 2 2 2
한방병원 3,379 3,246 4,776 4,771 5,039
검사장비 38 34 27 25 20
방사선진단·치료장비 - - 3 6 5
이학요법장비 1,371 1,249 2,231 2,273 1,020
수술및처치장비 11 8 12 10 9
한방장비 1,959 1,955 2,503 2,457 3,985
한의원 42,725 43,603 57,776 57,996 70,688
검사장비 193 187 602 550 547
방사선진단·치료장비 9 8 199 174 166
이학요법장비 15,540 14,613 24,572 24,444 12,673
수술및처치장비 25 27 41 43 44
한방장비 26,958 28,768 32,362 32,785 57,258

  Source : 국민건강보험공단
  Comment
1) 연도말 기준.
반응형
Posted by A&Z
종명 수필2011. 12. 24. 14:15
반응형

원치 않은 임신은 당사자들과 가족, 그리고 사회에 깊은 시름을 던집니다. 특히 미성년자 등 생활능력이 없는 젊은이들의 임신은 여러 문제점과 후유증을 낳습니다. 


해마다 연말연시엔 뜻하지 않은 아기를 갖는 여성들이 세계적으로 적지 않습니다. 최근 영국에선 크리스마스와 신년연휴를 앞두고 '임신공포와의 전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영국 피임낙태정보센터(BPAS)는 사후 피임약 '모닝 애프터 필'을 무료로 나줘주는 캠페인에 나섰습니다. 이 센터는 피임약 신청자에게 15분 동안 간호사의 설명을 듣게 한 뒤 피임 세트를 공짜로 주고 있습니다. 


이 세트엔 피임약과 콘돔,그리고 피임정보를 적어놓은 팸플릿이 들어 있다고 합니다. 그 날이 막상 닥치면 약국이 모두 문을 닫아 피임대책을 세울 수 없기 때문에 이 세트가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사후 피임약 모닝 애프터 필은 성관계를 가진 뒤 72시간 안에 먹는 알약입니다. 하지만 성관계 후 12시간 안에 먹는 게 가장 효과가 좋다고 합니다. 여성들이 먹는 피임약이 상품으로 나온 지는 51년이 됐습니다.  


먹는 피임약과 콘돔 등 피임도구 외에, 남성 호르몬 테스토스테론과 여성 피임약에 쓰이는 프로게스틴을 섞은 뒤 남성에게 처방해 정자 수를 줄이고, 특히 남성의 90%가 일시적인 무정자 상태에 들어가게 하는 피임법도 발견됐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경구피임약과 콘돔보다 훨씬 더 비실용적입니다. 


최근 재미있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바 있습니다. 피임약을 먹으면서 남편 후보감을 만나는 여성들은 상대방에게 매력을 훨씬 덜 느낀다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연말연시 들뜬 분위기에서 조심스럽지 못하게 성관계를 가질 가능성이 있을 경우엔 반드시 피임도구를 준비해야 합니다. 한 번 실수로 평생 후회해도 씻지 못할 상처를 입어선 안됩니다. 젊은 분들, 유비무환(有備無患)의 정신 잊지마세요.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의료분야의 과장,과대 광고는 다른 분야보다 훨씬 더 중대한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성을 띱니다. 특히 생명과 직결될 수 있는 경우엔 더 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치과 분야는 어떨까요? 
종합편성채널 JTBC가 최근 보도한 바에 의하면 시중 치과의 `임플란트 전문의`라는 표시는 모두 허위 또는 과장 광고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같은 광고행위에 방망이를 휘둘렀습니다. 

공정위는 임플란트 시술을 하며 `전문의` 또는 `전문 병원`이란 광고 문구를 쓴 21개 치과 병원에 대해 허위, 과장 광고라며 시정조치를 내렸다고 합니다. 시정 명령을 받은 곳은 다인 치과그룹 산하 다인치과 등 7곳이랍니다. 

공정위는 또 후츠후 등의 14개 병ㆍ의원에는 경고 조치를 취했습니다. 사안의 무게를 가려, 시정명령을 내리거나 경고 조치를 취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들 병ㆍ의원은 현행법 상 '임플란트 전문의'가 인정되지 않는데도,  임플란트 과목에서 치과의사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것처럼 광고해 왔다고 합니다. 

병.의원들이 이런 제재를 받았는데도 시정하지 않을 경우엔 법규에 따라 다음 단계의 무거운 벌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이번에 공정위가 휘두른 방망이는 솜방망이가 아닐까요? 학교의 선도부처럼 너무 가볍게 타이른 것은 아닐까요? 여러분의 의견은? 
반응형
Posted by A&Z
종명 수필/단상 회상2011. 12. 24. 14:11
반응형
성인 나이트클럽에서 가짜 성기를 내보인 무용수에게 벌금형이 선고됐습니다. 1,2심에선 무죄 판결을 받았지만, 대법원에서 유죄로 뒤집어 졌습니다. 

2심 판결에 불복한 검찰이 대법원에 항고하자, 대법원은 이전의 판결이 잘못됐다고 판단해 이를 깨고 하급법원으로 되돌려 보냈습니다. 이를 법률 용어로 '파기 환송' 이라고 합니다. 

대법원의 '파기 환송'에 따라, 대구지법 형사4부는 다시 재판(파기환송심)을 열고 대법원의 취지에 맞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공연음란 협의로 기소된 무용수  윤 모(37) 씨와 나이트클럽 영업부장 김 모(39) 씨에 대해 벌금 70만 원을 각각 선고한 것입니다. 

재판부는 "공공장소에서 음란 행위를 기획ㆍ공연하는 등 죄질이 좋지 않지만, 모조 성기를 노출한 시간이 20초에 불과한 점 등을 종합했다"고 판결 이유를 밝혔습니다. 나이트클럽 DJ 윤 씨는 김 씨의 지시로 2009년 2월 무대에서 춤을 추다 가짜 성기를 노출한 혐의로 기소됐습니다.

이 판결 기사를 접하고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가짜 성기를 노출한 대목에 유죄를 인정했다기 보다는, 가짜 성기를 달고 '음란행위'를 한 대목에 중점을 두고 유죄판결을 내린 것으로 봤습니다. 

풍기 문란을 일으킨 음란행위는 '가짜 성기 노출 + 성행위를 연상케 하는 춤 또는 동작 + 괴성 등' 으로 구성됐을 게 분명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공연이 음란죄로 법정에 선 것은 1996년 연극 '미란다'가 처음이랍니다. 남녀 배우의 알몸 연기가 문제 됐습니다. 법원은 연출자에게 징역 6월, 집행유예 1년을 때렸습니다. 

2005년엔 알몸 방송사고도 있었습니다. MBC 생방송에 출연한 인디밴드 '카우치' 멤버 2명이 6초 간 '진짜 성기'를 내보여 큰 파문을 일으켰습니다. 이들은 공연음란죄로 각각 징역 10월,징역 8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습니다. 

어쨌든 '가짜 성기'를 보인 성인 나이트클럽 무용수는 벌금 70만원을, '진짜 성기'를 지상파 방송에서 보인 카우치는 징역 10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습니다. '가짜 성기' 노출 사건에서 대법원의 파기환송과 대구지법의 파기환송심을 접하는 여러분의 의견은 어떻습니까. 


반응형
Posted by A&Z
종명 수필2011. 12. 24. 14:07
반응형
대한민국이 각종 제품의 테스트베드(test bed,시험무대)가 되고 있음은 널리 알려져 있다. 첨단 모바일 제품의 시험무대가 되는 건 대체로 기분 좋은 일이다. 얼리 어댑터가 많다는 것은 우리 국민이 왕성한 호기심을 갖고 있다는 얘기다. '호기심은 나의 힘' 아닌가. 

하지만 기분이 썩 좋지 않은 경우도 많다. 값비싼 각종 명품, 술, 담배, 화장품 등 외국산 제품 시장의 테스트베드가 되는 건 싫다. 특히 오남용의 부작용을 감수해야 하는 일부 의약품(신약)의 경우, 소름마저 끼친다.    

비아그라, 시알리스, 레비트라(야일라), 자이데나, 엠빅스, 제피드 등 여섯 종류의 발기부전 치료제가 세계에서 가장 각광받는 곳이 대한민국이라는  점도 꺼림칙하다. 물론 이들 약품의 안전성은 이미 입증됐다. 하지만 부작용의 마수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있는 의약품이란 이 세상에 없다. 

최근 미국의 다국적 제약사인 릴리의 조사에 의하면, 설문조사에 응한 13개국 국민 가운데 우리나라 사람들의 성관계 횟수가 가장 적다고 한다. 주 1회 정도로 세계 평균(주 1.5회)에 못미친다는 것이다. 물론 이 조사에는 헛점이 도사리고 있다. 실사가 아니고 설문조사이니, 그 정확성은 하나님만이 아신다. 

그렇더라도 통계를 대충 믿는다면, 성관계를 별로 하지도 않으면서 왜 발기부전치료제를 그토록 많이 처방받아 가는 것일까. 비뇨기과 전문의들과 주변 사람들의 말을 들어보면 비아그라 같은 약을 (성관계와는 무관하게) 강장활력제나 무슨 영양제처럼 먹는 이들이 적지 않은 모양이다. '불편한 진실'이다. 

먼 옛날, 일부 어린이들이 '원기소'를 즐겨먹었듯이 오늘날엔 중년 이상 남성들이 비아그라 류를 즐겨먹는 것으로 보인다. 이또한 약물의 오남용이다. 우리 국민의 상당수가 언제 무슨 부작용을 일으킬지 모르는 위험지대로 치닫고 있는 셈이다. 


생활에서 활력을 얻는 방법이 비아그라 류 외에는 없다는 말인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 건전한 생활습관과 운동, 식생활, 스트레스 해소법 등으로도 삶의 에너지를 얼마든지 강화할 수 있을텐데 말이다. 생활의 활력소, 자신감의 회복 수단으로 비아그라 류 약물을 꼭 써야 할까. 다른 사람들의 생각이 궁금하다.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이른바 '인조인간 찬양녀'가 인터넷에서 화제를 낳고 있습니다. 

그녀는 여섯 달 동안 무려 20번이나 얼굴에 칼(?)을 댔다고 합니다. 이쯤 되면 성형수술 애호가의 진수를 보여주는 셈입니다. tvN의 '화성인 바이러스'프로그램에 과감하게 출연한 그녀는 카메라 울렁증도 없나 봅니다. 

인조인간 찬양녀는 매우 독특한 가치관을 드러내 놀라움을 자아내기도 했습니다. "성형은 자기 자신을 위한 노력"이라고 여긴다고 밝혔습니다.  바비인형을 꿈꾸는 그녀는 '자연산'얼굴을 헌신짝처럼 버린 데 이어, 가슴과 턱,코의 성형에도 도전하고 있습니다. 




그녀의 성형수술 천리길은 고1 때 시작됐답니다. 쌍꺼풀 수술로 역정의 한 걸음을 내디뎠습니다. 그것이 최근 일곱 군데의 성형으로 확대됐습니다. 숫자로 보는 그녀의 화려한 성형수술 전력에 혀를 내두르지 않을 수 없습니다. 6개월, 20곳, 1000만원, 미인점 5회, 코 필러 3회,쌍꺼풀 2회,눈밑 애교살 2회, 그리고 보조개.지방이식.턱 시술 각 1회. 

자기의 뜻과 전혀 관계없이 이 세상에 태어난 데다, 생김새가 자기 마음에 썩 들지 않을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신체발부 수지부모 운운해야 할까요? 과감히 뜯어고쳐 자신의 의지대로 모양새를 갖춰야 할까요? 돈이 없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사람들은 요?  이런 뉴스를 보면서 갈피를 잡지 못하는 여성분들도 일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여러분의 의견은?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최근 미국에선 사과주스 유해 논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두 달 전, 미국 폭스11 채널의 '닥터 오즈쇼' 진행자인 메흐메트 오즈 박사는 "유명 브랜드의 사과주스 제품들을 검사한 결과 몸에 해로운 수준의 비소 성분이 검출됐다"고 방송에서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이는 미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무책임한 오도(誤導)"라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오즈 박사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결과가 나와, 꺼져 가던 불길이 다시 타올랐습니다. 미국의 저명한 소비자잡지 '컨슈머리포트'는 5개 브랜드의 사과,오렌지 주스 제품 샘플 88개를 조사한 결과 7개 제품에서 음용수에 적용하는 허용기준치를 넘는 비소 성분이 검출됐다고 지난달 30일 발표했습니다. 일부 제품에서 비소 성분이 27ppb (ppb는 10억 분의 1 농도) 나왔다는 것이었습니다. 이는 미연방 허용기준치 10ppb의 2.7배에 이르는 수치입니다. 



컨슈머리포트 조사에 의하면 2세 이하 어린이의 25%와 2~5세 어린이의 45%가 하루에 주스를 약 207ml (7온스, 1온스는 29.57353ml)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조사 결과로 어린이들이 주스를 너무 많이 마시고 있다는 사실이 새로운 쟁점으로 떠올랐습니다. 

미국소아과학회(AAP)의 가이드라인은 6개월 이하 유아에겐 주스를 마시게 해선 안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6세 이하 어린이들은 하루 평균 4~6온스(약 118~177ml), 7세 이상 어린이들에겐 하루 평균 8~12온스(약 237~355ml)를 마시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현재 미국에서 5세 이하 어린이의 상당수가 마시는 하루 평균 약 207ml의 주스는 미국소아과학회의 권장치를 상당량 웃돌고 있는 셈입니다. 논쟁의 초점은 이제 비소 검출 논란에서 사과주스 과다섭취로 넘어가는 형국입니다. 

미국 건강전문 사이트인 '에브리데이 헬스 닷컴'(everydayhealth.com) 은 주스 과다 섭취로 인한 건강 유해의 주범(the real villan)은 설탕이라고 최근 보도했습니다. 그러면서 당분이 많은 주스를 너무 많이 마시면 설사, 충치(치아 우식증),영양불량,비만 등에 더 잘 걸릴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또 주스를 지나치게 많이 마시게 되면 우유를 덜 마시고, 칼슘과 다른 영양소를 음식으로 덜 섭취하게 되는 문제점을 일으킨다고 지적합니다. 

어린이들의 건강에 가장 좋은 것은 역시 신선한 과일입니다. 섬유질은 더 많이, 칼로리와 설탕은 더 적게 어린이들에게 마시게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종명 수필 > 맛집과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몬도가네와 세계의 식용 곤충 11가지  (0) 2019.03.11
매직랩 GLAD  (0) 2012.02.16
  (0) 2011.10.09
신기한 자색고구마,영양 풍부  (0) 2011.03.13
맛집_국순당 백세주마을  (0) 2011.03.13
Posted by A&Z
종명 수필2011. 12. 4. 10:51
반응형
키 182cm의 늘씬한 미국 영부인 미셸 오바마는 남편 오바마 대통령과 자녀들에게 어떤 음식을 주고 있을까.  

미셸 오바마는 백악관의 총주방장 크리스테나 커머포드 등 세프 3명이 살을 빼는 데 도움을 주는 배후인물이자 건강습관의 전도사로 꼽힌다. 백악관 셰프들은 하우스 맥주(수제맥주,homebrew beer)를 2011년 백악관 수퍼보울 파티에 온 손님들에게 처음으로 제공해 화제를 불러 일으켰다.  미셸 오바마는 최근 미국의 심각한 비만아동 줄이기 캠페인에도 큰 관심을 쏟고 있기도 하다. 그런 그녀가 백악관 안주인으로 운영하는 '황제 식단'에 대한 궁금증을 미국 건강전문 사이트 '에브리데이 헬스 닷컴'이 풀어줬다.  




이 사이트는 최근 '백악관에서 빼낸 신선한 레시피 5가지'라는 제목으로 버락 오바마 패밀리가 즐기는 음식 5가지를 소개했다.  대통령 가족의 식탁에 주로 오르는 음식은  바삭바삭한 고구마 튀김, 사과 잼, 
시금치를 곁들인 칠면조 라자냐, 간단한 과일 파이, 직접 만든 피자 등이다. 

고구마 튀김은 바짝 튀기지 않고, 올리브 기름으로 굽는다. 자주 쓰는 적갈색 감자 대신 영양분이 듬뿍 든 고구마를 택한다. 신선한 방울토마토로 만든 케찹에 찍어 먹는다. 

사과 잼은 물과 으깬 사과로만 만든다. 그저 껍질을 벗기고 조리할 뿐이다. 한 번 만들면 2주 내에 소화한다. 빵에 발라 먹는다. 

시금치를 곁들인 라자냐는 이탈리아 요리로 파스타의 일종이다. 저지방 치즈와 싱싱한 시금치 0.9kg을 쓴다. 칼로리를 줄이기 위해 마른 칠면조로 요리한다. 대통령 가족이 즐겨찾던 하이드파크 인근의 이탈리아 레스토랑 피에스타 피제리아의 버전을 약간 바꾼 레시피다. 

 간단한 과일 파이는 신선한 베리와 사과 잼을 통밀빵 속에 넣어 내놓는다. 손쉽게 구워 먹을 수 있다. 직접 조리하는 피자는 미셸 오바마가 딸들과 함께 손수 만드는 것이다. 정원에서 막 뽑은 신선한 채소와 통밀빵 껍질, 집에서 만든 방울토마토 소스 등으로 만든다. 대통령이 싫어하는 사탕무우는 넣지 않는다. 
반응형
Posted by A&Z
종명 수필2011. 12. 3. 00:05
반응형

 장수를 향한 인간의 욕망엔 끝이 없는 것 같다. 


 진시황의 불로초 이야기는 귀에 익숙해진 지 오래다. 한참 전 국내에선, 돈 많은 어떤 분의 죽음을 놓고 "더 오래, 건강하게 살 수 있다면 하루에 1억원 씩이라도 쓰고 싶었을 것"이라고 입방아를 찧는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 술자리 안주로 올린 재벌과 죽음에 관한 기억이 뚜렷하다. 


 해마다 5월이면 장수노인들에 대한 기사가 매스컴을 장식한다. 기대수명(life expectancy)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지고, 건강수명(healthy span)에 대한 염원이 콸콸 솟는다. 인지상정이다. 하지만 이내 노후의 경제적 활동 및 능력에 생각이 미친다. 이젠 오래 산다는 게 결코 유쾌한 것만은 아니다.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의 차이는 10년 정도다. 80세까지 살다가 죽는 경우, 마지막 10년은 크고 작은 병마에 시달린다는 얘기다. 


 



  한때 강남 아줌마들 사이에선 '9988234'라는 게 유행처럼 번졌다. 암호 같은 숫자를 풀이하자면 "99세까지 팔팔(88)하게 살다가 2~3일 안에 죽는다(234)"라는 뜻이다.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의 격차를 불과 2~3일로 줄이고 싶은 염원이 담겨 있다. 명실상부한 한국 중상층의 장밋빛 꿈인 셈이다.  

    

 의약계도 장수를 실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최근엔 장수의 비결 가운데 하나가 유전자의 돌연변이임을 밝혀낸 연구결과가 보도됐다. 또 코메디닷컴은 ABC방송을 인용, 미국 샌프란시스코 힐블름 노화생물학센터가 유전자 조작으로 정원의 흙 속에 사는 선충의 수명을 6배로 늘리는 데 성공했다고 보도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인간의 노화를 막고 수명도 크게 늘릴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책임자는 15년 안에 손에 잡히는 성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http://www.kormedi.com/news/article/1202444_2892.html )


 이런 희망섞인 소식과는 달리, 나이 들어가는 사람들이 부닥치는 현실은 사뭇 가혹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노년층의 상당 비율이 비참하거나 무기력하게 삶을 지탱하고 있음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우리 주변에서도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현대판 고려장의 이야기도 먼 옛날의 민담 따위가 아니다. 지금, 바로 여기(Now, here)에 똬리를 틀고 있다. 


 게다가 베이비부머들과 그 연령대 이상의 고단한 삶을 드러내는 지표나 보도가 속속 나오고 있다. 50세 이상의 생계형 자영업자는 310만 3천 명(10월 현재)에 달한다. 이는 10년 전보다 68만 5천 명이 늘어난 수치다. 뿐만 아니라 중년 여성들이 생계 유지를 위해 수입이 변변치 않은 취업현장에 무더기로 내몰리고 있다고 보도됐다. 50대 여성이 투잡을 해도 한 달 손에 쥐는 돈이 고작 120만 원에 그친다거나, 취업의 벽을 뛰어넘기 위해 학원에 몰리는 '스펙 쌓기 50대 여성'이 최근 두드러지게 늘었다는 보도가 있었다. 


 나이가 들어 자원봉사나 취미활동을 하거나, 무력감에서 벗어나 삶의 의미를 느끼게 해주는 일에 종사하는 건 행운이고 행복이다. 하지만 목구멍에 풀칠을 하기 위해 힘들고 보수도 시원치 않는 일터를 전전하는 건 삶의 굴레일 수 있다. 더욱이 병마에 시달리며 연명하는 숱한 사람들에게 장수라는 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그래도 숨 쉴 수 있고, 걸을 수 있고, 만질 수 있는 데 감사를 드려야 할까. 수명이 길어지는 이 시대, 오래 사는 게 축복인가 재앙인가. 당신의 의견은?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국민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입원료,중환자실 요금,식대 등을 현실화하고 보험재정 상황에 맞지 않은 보장성 강화정책을 재고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성상철 대한병원협회장은 1일 오후 6시30분 서울시 마포구 대한병원협회 14층 대강당에서 열린 의료저널리즘연구회 총회 기념강연에서 이같은 주장을 펼쳤습니다. 인건비와 소비자물가 상승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병원들의 입장을 대변했습니다. 그러나 성회장은 이에 그치지 않고, 우리 병원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촉구했습니다. 

성회장은 부가가치가 높은 의료 부문의 산업화와 중국 등 인근 국가의 의료수요 증가에 대비한 '의료 허브' 구축 등 청사진을 내놓았습니다. 

의료소비자 또는 환자 입장에선 의료보험수가의  현실화에 관심이 쏠리게 마련입니다. '현실화'란 곧 수가를 올려야 한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대한병원협회 자료에 따르면 원가에 훨씬 못미치는 수가를 적용하는 부문이 적지 않습니다. 병동별 원가보전율을 보면 격리실이 72.9%, 낮병동이 59.8%, 모유수유실이 38.9%, 모아동실이 70.9%입니다. 

모유수유실의 경우, 병원이 들이는 원가를 1000원이라고 친다면 실제 수가로 보전되는 돈은 389원에 불과하다는 것입니다. 611원을 밑지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이런 부문 때문에 병원들은 죽겠다고 아우성입니다. 



 

병원산업을 전반적으로 들여다 보면, 최근 몇 년 사이에 환자유치 경쟁이 치열해진 측면이 눈에 띕니다. 병원의 숫자가 부쩍 늘었고, 특히 인구의 노령화로 노인요양병원이 크게 늘었습니다. 2011년 6월 말 기준으로 국내 요양기관은 8만 2688개에 달합니다. 이는 2005년(7만 2921개)에 비해 13.4%가 늘어난 수치입니다. 

이 기간 중 의원급은 2만 5166개에서 2만 7784개로 10.4%가 증가했습니다. 병원급은 1403개에서 2611개로 86.4%나 늘었습니다. 특히 요양병원은 2005년 203개에서 2011년 6월 1365개로 엄청나게 늘었습니다. 증가율이 무려 357.1%에 달합니다. 노인 인구가 많이 늘어나니 그들을 요양할 병원도 덩달아 늘어나는 건 당연합니다. 수요공급의 법칙이 어김없이 적용된 셈이죠. 

병원들이 이처럼 우후죽순처럼 늘어나고 있는 데 반해, 의료보험수가는 앞으로 5년 간 인상폭을 2% 이내로 억제한다는 게 정부 방침입니다. 그러니 병원들이 못살겠다고 아우성치는 상황도 이해됩니다. 

하지만 정부는 병의원에서 아직도 군살을 뺄 여지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일반 소비자 입장에선 값싼 돈으로 좋은 진료를 받고 싶을 겁니다. 특히 일부에선 의사,변호사 등 전문직종에 일종의 편견을 보이고 있는 것도 현실입니다.

하지만 주위를 둘러보면 이들 직종의 상대적 호사는 그야말로 옛말입니다. 옛날처럼 한 번 의사나 변호사가 되면 팔자를 펴는 사람들이 별로 없습니다. 팍팍한 현실이 이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병원협회 통계는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합니다. 훌륭한 의료기술을 가진 의사들이 많이 나오고, 친절하고 믿을 수 있는 병원 환경이 조성되려면 의사,간호사 등 전문직종이 여러모로 힘든 만큼 경제적 보상을 충분히 받아야 할 것입니다. 반면 의료소비자들은 경제적 부담을 줄이면서도 좋은 의료서비스를 받고 싶을 겁니다. 의료수가의 현실화, 즉 적절한 의료수가 인상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은 어떻습니까.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의학 전문지식을 조금 더 쉽게 대중들에게 알려주시면 좋겠어요. 코메디닷컴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국내 1위 건강의료포털 코메디닷컴이 창립5주년을 맞아 벌인 ‘아이콘 & 캐릭터 공모전’에서 뽑힌 수상자들은 이렇게 입을 모았다. 또 자신들이 정성껏 창작한 작품이 코메디닷컴의 브랜드 가치를 높여 많은 의료소비자들이 혜택을 누리길 바랐다.

이번 공모전에서 1등 작품을 내지 못한 가운데, 2등을 차지한 권지영(38, 서울시 강동구 성내동)씨는 “ 내심 1등 당선을 희망했으나 아쉽게 2등이 돼 좀 아쉽다”며 “하지만 이번 수상을 계기로 더욱 노력해 캐릭터가 독특한 어린이 동화책을 만들어 새싹들에게 재미와 꿈, 희망을 주고 싶다”고 말했다. 프리랜서 디자이너로 활동하고 있는 권씨는 캐릭터 작품으로 ‘코디’를 냈다. 권씨는 “내가 창작한 '코디'는 의학적 궁금증, 수호천사, 메디컬 허브, 아픈 고객 맞춤형 건강관리, 정보의 아카이브를 구현하는 코메디닷컴을 대표하는 캐릭터”라고 말했다. 또 “아이콘은 병원을 상징하는 십자 아이콘과 코메디닷컴의 영문 이니셜인 'K'와 신뢰를 상징하는 블루(blue)컬러를 디자인 모티브로 해 상징화했다”고 덧붙였다.

3등을 차지한 김석원(29,대전시 대덕구 중리동)씨는 “공모전 이력에 수상 실적이 하나 추가돼 기쁘다”고 말했다. 그는 “어릴 때부터 그림 그리기를 좋아했고, 노력 끝에 디자이너가 됐다”고 말했다. 김씨는 “모두에게 사랑받는 캐릭터를 만들고 싶다”고 밝혔다. 그의 수상작인 캐릭터 '헬스'는 세련되고 깔끔한 형태의 매력적인 디자인으로 코메디닷컴을 상징적으로 표현했다. 그는 “ 영웅을 상징하는 듯한 역동적인 이미지이지만, 누구에게나 쉽고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으며, 다양한 홍보매체에 두루 사용할 수 있게 완성했다”고 밝혔다. 또 “ 아이콘은 남성과 여성을 상징하는 심볼을 시계 모양으로 표현한 작품”이라고 말했다.  

김씨와 함께 3등 상을 받은 박진수(28,인천시 부평구 부평동)씨는 “이 분야의 첫 수상이어서 매우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다. 그는 “ 고등학교 졸업 후 애니메이션에 관심을 가졌고, 책을 많이 읽으며 캐릭터를 공부했다”며 “ 이번 수상으로 캐릭터에 대한 방향성을 어렴풋이나마 갖게 됐다”고 밝혔다. 박씨는 웹 디자인과 편집 디자인 일을 하고 있다. 그는 “캐릭터는 마스크를 쓴 세 쌍둥이로 만들었다. 코리,메디,케이의 청개구리처럼 반짝거리고 맑고 큰 눈은 의학 전문지식과 궁금증과 연구에 대한 의지를 보여 준다”고 말했다. 그는 “ 아이콘은 PC와 모바일에서 코메디닷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디자인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얼굴 전문가가 본 이부진-이서현 자매의 매력

☞ 체중이 늘어나는 뜻밖의 이유 6가지

☞ 과식 했나요? 피해 줄여주는 음식 5가지

☞ 여성이 오르가슴 연기하는 진짜 이유는?

☞ 다이어트…음식조절보다 운동이 먼저



김영섭 기자 (edwdkim@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http://www.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진세훈 원장·경희대 범진식 교수팀, '자가진피회생술' '성형외과학 연보' 채택

보톡스로 해결하기 어려웠던 깊은 주름을 수술하지 않고 간단히 치료하는 방법이 개발됐다. 서울 진성형외과 진세훈 원장과 경희대학교 성형외과 범진식 교수팀이 개발한 ‘자가진피회생술’이다. 주사를 통해 진피층에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자극을 동시에 가해 콜라겐 섬유조직을 대량 생성되게 하는 새로운 시술법이다.

진원장(의학박사)은 시술에 필요한 주사장치를 개발해 미국과 한국에 특허 출원했으며 시술의 임상효과를 검증한 논문이 미용성형분야 3대 국제학술지(SCI급)의 하나인 ‘성형외과학 연보(Annals of Plastic Surgery)’에 채택됐다고 24일 밝혔다. 논문은 다음 호에 게재될 예정이다.

자가진피회생술은 이산화탄소 가스와 조직에 수분을 공급하는 필러 성분인 히알루론산을 같은 장소에 이어서 주입할 수 있는 특수 주사기를 사용한다. 우선, 이산화탄소 0.1cc를 서서히 주사해 주름이 있는 진피 속에서 잘 퍼지게 만든다. 이어  히알루론산 용액 0.01~0.02ml를 주입해 피부가 약간 부풀어 오르게 만든다. 주름이 평평해질 때까지 3~5 mm 간격으로 주사를 계속하면 시술은 끝난다.

이 시술법은 간단한 주사요법이라는 점에서 보톡스와 비슷하지만 그보다 효과가 탁월하고 지속기간이 길다는 점이 특징이다. 진 원장은 “보톡스는 근육을 마비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깊이 1mm 미만의 주름에 효과가 있다”면서 “이에 비해 자가진피회생술은 콜라겐 섬유조직을 새로 만들어내는 근본적 치료법이기 때문에 깊은 주름이라도 반복 시술하면 치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마나 눈가의 주름은 80%가 한차례 시술로 해결된다”면서 “보톡스보다 두 배 깊은 주름까지 한 번에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 “효과 지속 기간도 보톡스는 6개월인데 비해 1년 이상 그대로 유지된다”면서 고 밝혔다. 그는 “처음에는 히알루론산이 필러 역할을 해서 주름이 곧바로 개선되고 이것이 체내에 흡수되는 동안 콜라겐 조직이 생겨서 주름을 더욱 펴주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진 원장은 “지난 2년간  내 자신의 팔과 얼굴 등에 시술을 해가며 효과와 부작용 등을 검증해 시술법을 완성하고 1년 이상의 임상 경험과 6개월 이상의 효과 검증을 통해 새 시술법을 내놓게 됐다”면서 “젊은 분들의 입가, 눈가 주름에서 노년층의 이마, 미간, 뺨, 입술 주름까지 간편하게 치료할 수 있는 효과적 시술법”이라고 강조했다.

논문의 교신저자인 경희대 범진식 교수는 "당초 진세훈 박사가 개발한 시술법”이라며 “주름 치료에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는 아이디어여서 연구에 참여하게 됐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여드름과 잔주름의 6가지 해결책

종합비타민 믿고 건강 망치는 사람 많다

30분 내로 기분 좋고 행복해지는 방법

과식 했나요? 피해 줄여주는 음식 5가지

아침형 인간으로 변신하는 3가지 팁



조현욱 기자 (poemloveyou@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http://www.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영어 약 이름 47개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 그룹 5대 신수종 사업에 속하는 바이오헬스와 헬스케어 가운데 앞으로 가장 유명한 분야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그 이유는?


◆ 국내 일류병원 그룹에서의 '원 오브 뎀(one of them)'으로 추락했다는 평가가 윤 원장님을 포함한 파격,전격 인사의 배경이라고 하는데 개혁 사령탑이 된 윤 원장님이 피부로 느낀 위기의식은 어느 정도입니까.  

◆ 폐암 외 나머지 5개 분야에서 1등을 차지하기 위해선 삼성의료원이 어떤 비상대책을 세워 남다른 노력을 해야 할 것으로 생각하십니까? (중앙일보 병원평가와 관련) 

◆ 삼성서울병원,강북삼성병원,삼성창원병원 등 병원 3개를 사실상 총괄하시는데, 각 병원을 특성화해 운영하실 계획이 있습니까.

 

◆ 병원과 계열사 간의 협력에서 가장 역점을 둘 사항은 무엇인가요? 




◆ 삼성의료원이 임상 수준을 많이 올렸지만, 연구개발(R&D)역량을 키우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았습니다. 존스홉킨스 병원이나 마요클리닉에 못지않는 R&D 능력을 갖추기 위해선 투자해야 할 인적,물적 자원이 만만치 않을텐데, 어떻게 풀어갈 계획인가요?

◆ 삼성경제연구소 부소장 시절,집무실에 인터넷 검색으로 찾아 인쇄한 각종 최근 논문들이 널려 있었고 '복잡계 네트워크' 연구모임을 결성하는 등 자기계발에 철저한 분으로 정평이 나있는데, 매우 독특하고 전문성이 강한 의료분야의 개혁을 이끄시자면 또다른 차원의 자기계발이 필요할 것 같은데요.

◆ 삼성의료원 의료사업일류화추진단장으로서 2012년 새해에 던지고 싶은 화두는 무엇인가요?

◆ 격무에 따른 피로감과 스트레스를 어떻게 푸시나요? 취미활동은? 

◆ (주)코리아메디케어와 건강의료포털 '코메디닷컴'에 조언 한 마디 부탁 드립니다. 

 


<중앙일보>
삼성 그룹이 이종철(63) 삼성의료원장을 전격 경질했다. 국내 최고라는 명성을 갖고 있던 이 병원에 혁신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실질적인 후임은 윤순봉(55) 삼성석유화학 사장이 맡았다. 삼성의료원의 사령탑이 의료인에서 전문경영인으로 바뀐 것이다. <관계기사 E3면>


 신임 윤 사장의 공식 직책은 삼성의료원 산하 3개 병원 중 하나인 서울 일원동 삼성서울병원의 ‘지원총괄 사장 겸 의료사업 일류화 추진단장’. ‘삼성의료원장’이 아니다. 의료원장은 공석으로 했다. 그러나 이는 의료법상 전문경영인이 의료법인의 대표이사를 맡을 수 없기 때문에 취한 조치일 뿐, 실제로는 윤 사장이 삼성서울병원과 강북삼성병원, 경남 삼성창원병원 등 3개 병원을 모두 이끌게 된다는 게 삼성 측의 설명이다.

 통상 삼성은 의료원까지를 포함해 사장급 인사를 연말에 했다. 이번 삼성의료원 인사는 그런 관례를 깬, 몇 안 되는 사례다. 삼성 고위 관계자는 “그만큼 삼성의료원의 혁신이 시급하다고 이건희(69) 삼성전자 회장이 판단한 것”이라고 말했다. 

 인사는 최근 삼성의료원 창립 17년 만에 처음으로 실시한, 그룹 차원의 경영진단에서 비롯됐다. 경영진단은 지난 7월부터 3개월간 이뤄졌다. 그 결과에 대해 삼성 측은 “ 삼성의료원의 목표는 ‘아시아 최고의 병원’이었지만 언제부턴가 ‘빅4’니 ‘빅5’니 하는 국내 네다섯 개 병원 중 하나로 전락했다”며 “크게 바꿔야 하는데 기존 멤버로는 어려워 전문경영인을 보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영진단에선 최근 중앙일보의 6개 암 부문 병원 평가에서 삼성의료원이 폐암 한 분야만 1등을 한 것 등이 문제로 지적됐다. 삼성그룹 내에선 “충격”이라는 반응까지 나왔다. 한국인들이 많이 앓는 질병에는 훤하지만 다른 분야에서는 글로벌 수준에 떨어진다는 점도 질타 대상이 됐다. 삼성의 한 임원은 “이번 인사는 혁신을 하지 않으면 언제든 조직을 흔들 수 있다는 이건희 회장의 메시지가 담긴 것”이라고 전했다.

 2008년부터 삼성의료원장을 맡아온 이 전 원장은 25일 퇴임하고 성균관대 의대 평교수로 돌아갔다. 이건희 회장의 주치의는 계속 맡기로 했다. 
박태균·이나리·이주연 기자
------------------------------------------------------------------------------------
 
삼성테크윈 사장(6월), 삼성전자 LCD사업부 사업부장 사장(7월) 교체에 이어 올 들어서만 세 번째다. 삼성그룹은 윤순봉(55) 삼성석유화학 사장을 삼성서울병원 지원총괄 사장 겸 의료사업 일류화 추진단장으로 내정했다고 25일 밝혔다. 삼성석유화학 후임 사장에는 정유성(55) 삼성전자 부사장을 내정했다. 윤 사장은 최근 그룹 차원의 경영진단에서 불만족스러운 평가를 받은 삼성의료원의 경영 혁신을 주도하게 된다. 아울러 그룹 내 5대 신수종 사업의 하나인 바이오·헬스케어 사업에서 병원과 계열사 간 협력을 지원하는 역할도 맡았다.



 삼성그룹 관계자는 이번 인사에 대해 “문제가 있는 곳이면 언제든 수시로 바꾼다. 혁신을 안 하면 언제든 조직을 흔들 수 있다는 이건희 회장의 메시지가 담긴 것”이라고 해석했다. 최근 삼성서울병원은 설립 17년 만에 처음으로 경영진단을 받았다. 그러나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했다. 삼성 관계자는 “설립 당시만 해도 장례문화 개혁 등 혁신적 경영이 이루어졌다. 계속 선두를 지키길 바랐으나 몇몇 주요 병원 중 하나로 위상이 떨어지고 말았다”고 전했다.



 바이오·헬스케어 사업의 한 축을 담당할 만한 역량도 부족했다. 특히 임상 수준은 올라갔으나 미국의 존스홉킨스병원·마요클리닉 같은 세계적 의료기관에 비해 연구개발(R&D) 능력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나왔다. 삼성그룹이 원래 없던 CEO직까지 신설해 가며 그룹 내에서 ‘혁신 전도사’로 불리는 윤 사장을 전격 내정한 연유다. 한편 그간 병원 경영을 총괄했던 이종철 현 원장은 성균관대 의대 평교수로 돌아간다.

 윤 사장은 삼성그룹 비서실 재무팀,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조정실장, 삼성전략기획실 홍보팀장 등을 거쳐 삼성석유화학 대표를 역임한 전문 경영인이다. 

 정유성 삼성석유화학 사장 내정자는 삼성그룹의 대표적 인사 전문가 중 한 사람이다. 81년 삼성전자 입사 뒤 품질·감사·해외영업을 두루 거쳐 인사팀장·경영전략팀장을 역임했다. 지난해 12월 삼성미래전략실 인사지원팀장으로 자리를 옮겼다가 올 6월 삼성전자 부사장으로 복귀했다. 이인용 삼성그룹 부사장은 “정 부사장은 삼성이 양성한 CEO 후보군 중 한 명으로 석유화학산업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나리 기자 

<한국경제>
삼성은 지난 25일 그룹 내 의료부문을 쇄신하기 위한 깜짝 인사를 했다. 성장 정체를 보이는 의료사업 경쟁력을 초일류 수준으로 끌어올리라는 이건희 회장의 의중이 반영된 인사라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윤순봉 삼성석유화학 사장(사진)이 미션을 받았다. 

그런데 윤 사장의 새 직함을 보면 언뜻 이해하기 힘든 측면이 있다. 공식 직함은 삼성서울병원 지원총괄 사장과 삼성의료원 내 신설되는 의료사업일류화 추진단장.직함만 보면 윤 사장은 최한용 삼성서울병원장보다 밑에 있고,사임한 이종철 삼성의료원장을 대신하는 것도 아니다. 

삼성은 윤 사장에게 왜 이런 직함을 준 걸까. 여기엔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먼저 윤 사장이 삼성서울병원장이 아닌 지원총괄 사장을 맡은 건 의료법상 규제 때문이다. 

의료법 33조2항은 병 · 의원 등 의료기관을 운영할 수 있는 자격요건을 △의사,치과의사,한의사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의료법인 또는 비영리법인 등으로 한정하고 있다. 이 조항에 따라 병원장을 맡으려면 의사자격을 갖춰야 한다. 

최한용 삼성서울병원장은 비뇨기과 의사(성균관대 교수)다. 의사가 아닌 윤 사장이 병원장을 맡는 건 법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 의료업계 관계자는 "병원 운영은 전문경영인이 맡고 의사를 고용하는 형태의 영리의료법인이 허용되지 않는 한 병원장에 윤 사장을 앉히는 건 현행 법률상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삼성의료원장을 맡지 않은 건 왜일까. 삼성 관계자는 "윤 사장을 의료원장으로 임명하지 않은 건 의료법과 무관한 그룹 내부의 조직개편 차원의 문제"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외부에서는 삼성의료원을 '의료법인'으로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삼성은 1994년 삼성의료원을 만든 데 이어 2008년 그룹 내 병원 · 의료사업을 총괄하는 조직으로 격상시켰다. 삼성서울병원과 강북삼성병원,삼성창원병원(옛 마산삼성병원),삼성생명과학연구소,삼성암연구소 등의 업무를 총괄하는 일종의 '컨트롤타워'다. 

외형상 삼성의료원이 그룹 내 병원을 총괄하는 형태이지만 각 병원은 별도 법인 소속이다. 삼성서울병원은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강북삼성병원은 삼성전자가 출연한 삼성의료재단,삼성창원병원은 학교법인 성균관대 소속이다. 

따라서 윤 사장이 25일 퇴임한 이종철 삼성의료원장을 대신해 의료원장을 맡을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삼성 관계자는 "의료원 조직이 경쟁력을 높이는데 별 도움이 안되기 때문에 축소할 예정"이라며 "90명 정도인 의료원 인력은 10명 정도로 줄이고,의료원이 해왔던 역할은 의료사업일류화 추진단이 대신할 것"이라고 말했다. 즉 윤 사장이 삼성의료원장직을 안 맡는 건 조직 자체가 사실상 없어지기 때문이란 설명이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 

<기타 메모>
경제연구소 부소장 시절, 그의 집무실엔 A4크기의 출력물이 유난히 많았다. 인테넷으로 검색한 최신 논문들.  복잡계 네트워크 연구모임.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술을 마시면서 담배를 피우면 스스로에게 '신체포기각서'를 쓰는 셈이 된다. 동료가 술자리에서 담배를 연신 피워대는 바람에, 마치 굴뚝 안에 앉아 있는 것 같은 섬뜩한 기분을 느낀 적이 아마도 있을 것이다. 이런 상황은 그야말로 '죽음의 칵테일'을 술 친구와 나눠 마시는 의식을 치르는 격이다.


이 죽음의 칵테일은 주로 간(肝)질환을 경고할 때 쓰는 말이다. 술을 마시면서 담배를 피우면 간이 요구하는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이 부쩍 늘어난다. 그 때문에 음주 중 흡연은 "연탄가스를 마시는 것과 흡사하다'는 말이 있다. 중독과 관련 있는 뇌 부위를 자극해 술이 술을 부르도록 몰아가기 때문이다. 담배는 우리 몸안의 알코올 흡수를 촉진한다. 술은 니코틴을 녹이고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따라서 건강의 적인 담배와 술은 우리 몸을 방어하는 벽을 무너뜨리는 데 시너지효과를 낸다고 할 수 있겠다.

최근 술을 하루 3잔 이상 마시면 폐암의 발병률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애주가들에겐 매우 애석한 일이다. 더욱이 술과 담배를 함께 해대는 사람들에겐 데프콘1에 해당하는 청천벽력이다. '죽음의 칵테일'이, 발병 전까지 좀체 입을 다물고 있는 '침묵의 장기'인 간(肝)뿐만 아니라 폐(肺)까지 공격하니 말이다. 이것 참...            




[코메디닷컴 보도 내용]

홍차 많이 마시고 과일 먹으면 예방 효과

흡연이 폐암을 일으킨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데 흡연뿐 아니라 지나친 음주도 폐암 발병 가능성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와 함께 체질량 지수(BMI)가 다소 높은 뚱뚱한 사람이나 홍차와 과일을 많이 취하는 사람은 폐암 위험이 낮다는 또 다른 연구 결과도 발표됐다.

별도로 진행된 연구들에 따르면 지나친 음주는 폐암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데, 특히 아프리카 미국인과 아시아 여성들에게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비흡연 여성의 경우 홍차를 많이 마시면 폐암 발병률을 낮출 수 있으며, 체질량 지수가 다소 높거나 과일을 많이 먹는 사람들은 여성과 남성 모두 폐암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제까지 과음은 심혈관계 합병증을 포함하여 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또한 적정한 음주는 폐암 발병의 별다른 요인이 되지 않는 것으로 여겨졌다. 따라서 대부분 중년층에서는 적당한 음주가 관상동맥 관련 질병을 예방해 주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기도 하다.

스탠턴 시우-카이저 퍼머넨테 박사 공동 연구팀은 1978년부터 1985년까지 건강 자료를 제공받은 12만 6293명을 2008년까지 추적 조사했다. 이 과정에서 폐암과 흡연, 알코올 소비량, 성별, 인종, BMI, 교육 수준 등의 상관관계를 살펴봤다. 그 결과 이 기간 동안 폐암 진단을 받은 1852명 가운데, 흡연이 가장 강력한 예측변수로 나타났으나, 술을 매일 석 잔 이상 마시는 지나친 음주도 폐암 발병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경우 와인과 독주를 마시는 쪽보다 맥주를 많이 마시는 사람의 발병 가능성이 조금 더 높았다.

한편 폐암의 위험을 줄여주는 요소도 있다. 연구팀은 BMI 지수가 높은 뚱뚱한 사람들이나 교육수준이 높은 층에서는 폐암의 위험성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상대적으로 교육수준이 높은 사람은 대체로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또 체코 연구팀은 별도로 진행한 연구에서 폐암의 발병과 흡연, 식습관, 운동 등의 상관관계를 살폈다. 그 결과 비흡연 여성들은 홍차를 많이 마시면 폐암의 예방 효과가 있으며, 과일을 먹는 것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예방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10월 22~26일 하와이에서 열리고 있는 미국 흉부외과의 협회(ACCP: American College of Chest Physicians) 77차 연례 회의에서 발표됐으며, 미국 논문 소개 사이트 유레칼러트가 23일 보도했다.

[관련기사]

정크 푸드 먹는 젊은이, 정자 비실거린다

가수 김범수의 얼굴이 감동을 주는 까닭

“정신병적 살인마, 말투부터 다르다”

발톱 속 니코틴으로 폐암 진단한다

담배 안 피우는데 웬 폐암?

 



남인복 기자 (nib503@kormedi.com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남자들의 유머는 남자에게 잘 먹힐까, 아니면 여자들에게 잘 먹힐까.
 

일찌기 지그문트 프로드이 선생은 갈파했다. 인류의 온갖 업적이 섹스 파트너를 유혹하기 위한 노력 끝에 이뤄졌다고. 자아를 뛰어넘는 무슨 고상한 이념이나 목적에 의해 인류의 호화찬란한 업적이 쌓인 게 아니라는 것이다. 이 때문에 남자들이 머리를 쥐어짜서 내뱉는 유머가 여자들에게 잘 먹히지 않는다면 작은 불행이라 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런데 최근의 한 연구 결과를 보면, 남자들의 유머는 같은 족속인 남자들에게 더 잘 먹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아킬러스건은 연구조사 대상의 규모(모집단)가 너무 작다는 점이다. 따라서 조사결과의 신빙성을 적극적으로 주장할 순 없겠다. 하지만 재미있다. 이런 주제에 대한 확대 연구조사가 이뤄지길 기대한다.  



[코메디닷컴의 보도 내용]

남자들이 ‘남성 유머’ 더 재미있어 해

미국 유명 작가 크리스토퍼 히친스는 2007년 ‘왜 여자는 웃기지 않을까(Why Women Aren't Funny)’라는 독특한 칼럼을 쓴 적이 있다. 이 칼럼은 당시 미국 남녀 커플들 사이에서 여러 논쟁거리를 낳았다. 이 칼럼을 읽은 많은 미국 남자들은 “여자들은 ‘유머 감각 있는 남자가 좋다’고 말하지만 정작 자기가 남자들을 웃기는 경우는 많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런데 실제로 남자와 여자들의 유머 감각을 테스트한 결과 여성에 비해 남성의 유머 감각이 더 뛰어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연구팀은 남녀 대학생 각각 16명씩을 대상으로 이들에게 주간지 뉴요커(New Yorker)의 만화를 보여줬다.

이 만화는 그림만 있을 뿐 캡션이 생략된 상태였다. 연구팀은 대학생들에게 각자 유머 감각을 발휘해 최대한 재미있게 캡션을 채워 달라고 부탁했다. 이후 연구팀은 완성된 만화를 아무런 사전 정보 없이 34명의 남자와 47명의 여자에게 각각 보여준 뒤 웃기는 순서대로 점수를 매기도록 했다.

그 결과 남자들이 창작한 만화 캡션이 여성들의 작품에 비해 평균 0.11포인트 높은 점수를 받았다. 특이한 점은 남자들이 창작한 유머가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는 점이다.

여성 독자들은 ‘남자들의 우스개’에 대해 여자 우스개보다 0.6포인트 더 높은 점수를 줬다. 반면 남성 독자들은 ‘남자들의 우스개’에 대해 여자 우스개보다 0.76포인트 더 높게 점수를 매겼다. 즉 같은 남자들이 ‘남자들의 우스개’를 더 재미있다고 생각했다는 것이다.

연구를 주도한 니콜라스 크리스틴펠드 교수는 “남자들은 보통 자기의 유머가 여자들을 웃기기를 바라지만 현실은 그 같은 바람과는 반대로 같은 남자들을 더 웃기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다만 연구팀은 “전체적으로 남녀의 점수 차이가 크지 않아 이번 결과만으로 남자의 유머 감각이 더 뛰어나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를 바탕으로 왜 남자들의 유머가 더 웃긴지, 그리고 이 같은 현상이 남자들의 노력 때문인지 등에 대한 연구를 추가로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연구는 심신의학회보(Psychosomatic Bulletin & Review)에 실렸으며 미국 CBS뉴스 온라인판이 23일 보도했다.

[관련기사]

정크 푸드 먹는 젊은이, 정자 비실거린다

가수 김범수의 얼굴이 감동을 주는 까닭

“정신병적 살인마, 말투부터 다르다”

유머감각, 배우고 실행하면 심신 튼튼

유머, 남성호르몬에서 샘솟는다



이완배 기자 (blackhart@kormedi.com)

반응형
Posted by A&Z
반응형


대한민국 건강의료포털, 헬스 2.0포털 코메디닷컴. 


코메디닷컴이 '코미디'를 다루는 사이트가 아닌 걸 처음 알았을 때,재미있어서 한바탕 깔깔 웃었다. 

(주)코리아메디케어가 5년 전부터 운영해 온 건강의료 전문 포털이다. 

코메디닷컴은 
1. 새로운 차원의 의료 미디어다.
2. 웹2.0을 기반으로 의료인과 환자가 소통하는 광장이다.
3. 의료계의 제3섹터다.
4. 메디컬 허브다. 


 



<코메디닷컴 2011년 10월 23일 오후6시 화면.> 


국내 1위 건강 의 포털
 2007 4월 오픈, 2008년 11월 이후 건강 포털 1위(독립미디어). 
 회원 16만 명, 하루 평균 PV 60.  포털, 이통사, 언론사 등에 각종 콘텐츠 공급
 

 국제 공인을 받은 유일한 건강포털
 스위스에 본부를 둔 세계적 건강 의료 웹사이트 인증기구 HonCode의 인증.
  5연속 인증 통과. 콘텐츠의 공익성, 정확성을 국제적으로 공인 받음


 
국가 U-헬스사업의 주축 기업
 보건복지부 U-헬스 서비스 기반 활성화 업 참여, U-헬스 지식포털 구축 중.
 국가 U-헬스 정보를 가장 먼저 접하고 국가 정책에 발맞춰 사업 추진 가능


 
의료계, 최고 브랜드 가치 미디어
 송명근 교수 수술, 소극적 안락사, 을지병원의  보도채널 참가 문제  등 특종 보도.
 의료계에서 조, 중, 동 이상의 신뢰를 인정받고 있는 언론


 


반응형
Posted by A&Z
IT모바일SNS/IT 웹서핑2011. 10. 11. 15:36
반응형




5개월 동안 베타 운영해 온 '러빙J 닷컴'을 접을 날이 머지 않았다.
이 사이트를 참고삼아 새 사이트를 만든다. 제호는 하이뉴스(hinews.kr)이다. 
메뉴를 조정한 새 사이트가 나오면, 러빙J의 컨텐츠를 여기에 옮긴다. 그 작업이 모두 끝나면 나홀로 끙끙대며 기획해 만든 러빙J가 웹세계에 작별을 고한다.    



반응형
Posted by A&Z